Q1. [제조업1]프레스 작동상태 확인 중 끼임.
A1 :
취출장치 에러를 확인 중 작업자의 신체가 하부금형의 센서에 감지되어 하강하는 금형사이에 머리가 협착
● 연동장치 기능해제
연동장치 기능을 해지한 채 금형에 접근하여 수리·정비 중 센서감지로 인해 설비가 가동되어 상부금형이 하강
● 프레스 방호장치 정상기능 유지
광자자식 방호장치를 항상 정상적으로 작동되도록 유지·관리
● 정비 등의 작업 시 운전정지 실시
정비·청소·급유·검사·수리 기타 이와 유사한 작업 시에는 프레스의 전원을 차단한 후 작업을 실시
Q2. [제조업3]작업장 바닥 호스에 걸려 넘어짐
A2 :
선박 블록 조립업 작업장 내에서 용접작업을 위하여 이동 중 용접용 CO2 가스 호스가 부재에 걸리자 이를 풀기 위하여 접근 중 바닥에 설치된 호스를 밟고 미끄러지면서 부재에 충돌
● 안전통로 미확보
작업장 내에 작업자가 이동 중 걸려 넘어지거나 미끄러지는 등의 위험이 없도록 작업장 바닥을 유지하여야 하나 CO2 호스를 바닥에 어지럽게 방치
● 정리정돈 미실시
CO2 가스호스, 부재 등이 정리·정돈없이 작업장 바닥에 방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방치
● 안전통로 설치 및 유지
CO2 호스 등 유틸리티 라인을 케이블 걸이대, 케이블 트레이 등을 이용하여 정리정돈을 실시하고 항상 사용가능한 상태로 유지
● 정리정돈 철저
관리감독자가 담당하는 작업장에 CO2 호스나 부재 등의 정리·정돈 및 통로 확보 여부를 확인하고 감독을 철저 실시
Q3. [제조업2]이동식 작업대에서 작업 중 추락
A3 :
작업자가 이동식 작업대 난간대에 로프를 연결하기 위하여 난간대를 잡으려고 하다가 중심을 잃고 3.5m 아래의 바닥으로 추락
● 안전난간대 미설치
● 이동식 작업대 구름방지 장치 미설치
● 안전난간대 설치
- 안전난간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엔진블록 상부의 우측면 및 이동식 작업대 좌측에 안전난간대를 설치하여 추락의 위험을 예방
● 이동식 작업대 구름방지 장치 설치
- 이동식 작업대의 바퀴에는 불의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브레이크·쐐기 등의 구름방지장치를 설치하여 바퀴를 고정
Q4. [제조업4]주행중인 지게차와 작업자가 충돌
A4 :
사내 도로를 주행하던 25톤 지게차가 트랜스포터(Transporter) 신호수를 발견하지 못하고 충돌
● 지게차 운전자 전방 주시 관련 주행표준 미준수
● 트랜스포터 후방 신호수 작업지휘 및 신호방법 미준수
● 지게차 운전자의 주행표준 교육 및 관리
● 트랜스포터 후방 신호수 작업지휘 및 신호방법 준수
Q5. [제조업5]줄걸이 작업용 로프가 끊어져 철근이 낙하
A5 :
갠트리 크레인(15톤)을 이용하여 철근다발(4톤)을 화물차에 싣는 작업 중 섬유로프의 파단으로 철근이 낙하함
● 손상되고 부식된 섬유로프 사용
● 위험작업 구역 내 작업자 접근
● 부적합한 섬유로프 사용금지
작업시작 전 변형 및 손상 등을 점검하고 이상 발견 시 교체하여 사용
● 줄걸이 작업방법 개선
중량물 인양 시 2줄걸이 방법을 사용하고, 상부 줄걸이 각도를 60° 이하로 함
● 위험작업 구역 내 작업자 접근금지
유도작업자는 걸고리 등 수공구를 사용하는 등 매단 화물 하부에 출입금지
Q6. [서비스업3]외벽 유리창 청소작업 중 추락
A6 :
유리 청소 작업을 하던 중 유리창이 파손되어 날카롭게 노출된 곳에 노후된 로프가 접촉되면서 절단되어 추락
● 충분한 강도가 유지되지 않은 달비계 로프 사용
● 로프 보호용 받침대 미설치
● 안전대 걸이용 로프 미설치
● 달비계 작업용 섬유로프 관리 철저
섬유로프 사용 전에는 섬유로프의 이상 유무를 점검하여 꼬임이 끊어지거나 심하게 손상 또는 부식되지 않은 섬유로프를 사용
● 로프 보호용 받침대 설치
외줄작업 시 모서리 등 날카로운 부분에 고무, 섬유 등의 재질로 된 받침대를 설치
● 안전대 걸이용 구명줄 설치 및 안전대 착용
건물 외벽 작업 시 달비계를 지지하는 작업용 로프와는 별도로 안전대 걸이용 구명줄을 설치하고, 구명줄에 안전대를 체결하여 작업용 로프 파단 등 비상 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
Q7. [서비스업1]미끄러운 바닥에서 넘어짐
A7 :
식당에서 뜨거운 뚝배기 그릇을 들고 가다가 바닥에 미끄러져 뜨거운 국물에 화상을 입음
● 슬리퍼 등 미끄러지기 쉬운 신발 착용
● 바닥의 이물질 또는 물기를 방치
● 미끄러지지 않는 재질의 신발 착용
● 바닥의 이물질 또는 물기는 바로 제거
Q8. [서비스업2]컨베이어 동력전달부에 끼임
A8 :
컨베이어의 작업자가 바닥에 떨어진 제품을 주우려고 머리를 숙이다가 체인에 머리카락이 말림
● 동력전달부 노출
체인 및 스프로킷 등 협착위험이 있는 동력전달부가 노출
● 동력전달부 안전덮개 설치
동력전달부인 체인 및 스프로킷에는 안전덮개를 설치
Q9. [서비스업4]냉동 식자재 가공 시 칼에 베임
A9 :
즉석횟집에서 칼로 냉동연어를 자르던 중 순간적으로 냉동연어가 잘리면서 손가락 끝부분도 함께 잘림
● 냉동 식자재 사용 시 충분한 해동을 하지 않고 작업 수행
● 무리하게 힘을 주어 생선을 절단하는 작업을 수행
● 냉동 식자재 해동 후 절단 작업
● 무리한 힘을 주어 작업하는 불안전한 행동 금지
● 칼을 사용할 때에는 베임방지용 장갑을 착용한 후 작업
Q10. [서비스업5]오토바이 운전 중 신호위반으로 교통사고
A10 :
교차로에서 오토바이배달원이 신호를 위반하고 주행하다 마주오는 버스와 충돌
● 빠른 배달을 위해 신호를 위반하여 주행
● 개인보호장구 미착용
● 교통신호를 준수하여 안전한 운행 실시
● 교차로 통행 시 좌우확인 철저
● 반드시 개인보호장구 착용
Q11. [건설업1]비계 위에서 자재 운반 중 추락
A11 :
건물 외벽 조적 작업을 위하여 외부 비계 위에서 자재를 운반 하던 중 약 15미터 아래로 추락하여 사망
근로자가 추락할 위험이 있는 장소(작업발판 및 통로의 끝이나 개구부)에는 안전난간 등의 추락 예방 시설 설치 후 작업
Q12. [건설업3]철근 운반작업 중 훅블럭 낙하
A12 :
철근 운반작업 중 이동식 크레인의 와이어로프가 파단되어 훅블럭이 하부 근로자 위로 낙하
ㅇ크레인 이용작업 시 와이어로프의 변형 및 소선의 절단 상태, 와이어로프 고정(결속) 부분 등에 대한 사전 점검을 실시
ㅇ근로자의 상부(머리 위)에서 인양 작업 금지
Q13. [건설업4]후진하는 타이어롤러 바퀴에 깔림
A13 :
아스콘 포장 기울기를 확인하는 중 후진하는 타이어롤러(Tire roller)의 바퀴에 깔려 사망
차량계 건설기계와의 충돌위험이 있는 장소에는 근로자의 출입을 통제하고 유도자를 배치
Q14. [건설업2]후진하는 덤프트럭에 충돌
A14 :
터파기 및 토사 상차 운반 작업구간에서 자재 운반을 위해 대기하던 중 후진으로 진입하던 덤프트럭과 충돌하여 사망
차량계 하역운반기계(덤프 트럭)을 사용하는 작업 시 해당 작업구간에 대한 출입통제 조치를 하거나 작업지휘자 또는 유도자를 배치
Q15. [건설업5]천장 단열재 제거작업 중 사다리가 넘어짐
A15 :
A형 사다리 위에서 천장 단열재를 제거하던 중 사다리가 전도되면서 바닥으로 추락
추락위험이 있는 장소에서 작업 시 비계를 조립하는 등의 방법으로 작업발판을 설치
사다리 이용시에는 안전한 사다리를 사용하고 개인보호구를 반드시 착용
Q16.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관련 유의사항 안내
A16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감염 예방 활동 및
감염 의심 시 조치사항을 안내 드립니다.
□ 감염 예방 활동
① 손을 자주 씻고, 눈·코·입을 만지는 것을 피함
② 퇴근 후 다중이용시설 가급적 이용 자제 당부
③ 해외여행(중국 등) 출국 후 입국한 인원에 대한
증상유무 확인 철저
④ 해외여행 전 해외감염병NOW
(www.해외감염병now.kr)에서 감염병 정보 확인하기
□ 감염 의심 시 조치사항
① 코로나-19 환자와 접촉하였거나 가족 중에
의심환자가 있는 경우 출근하지 말고 가까운 보건소,
질병관리본부 콜센터(☎ 1339) 등에 신속히 신고
② 호흡기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하고 주변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의심 또는
확진을 받은 경우 2차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조직내 보고
※ 자세한 정보는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http://www.cdc.go.kr) 참고
□ 예방 및 확산방지 사업장 대응지침
□ 꼭! 기억해야할 근로자 수칙
사업장 내에 「근로자 예방수칙」을 교육 및 안내해주시고
의심 증상 시 행동요령을 숙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호흡밸브가 있는 방진마스크는 감염병 예방용으로
"사용을 권하지 않음" 을 반드시 안내해 주시기 바랍니다.
Q17. 이수확인 프로그램 관련 Q&A
A17 :
Q1. 업데이트해도 데이터가 유지되나요?
A1. 프로그램을 삭제하지 않고 공단 홈페이지에서
받으신 설치파일을 실행하시면 기존 데이터를
유지하면서 업데이트 하실 수 있습니다.
Q2. 등록할 때마다 새로운 근로자로 등록됩니다.
A2. 교육 받으신 분의 회사명, 부서명, 이름 세가지 항목이
완전히 일치해야합니다. (기호, 띄어쓰기 등 포함)
ex) 안전보건공단 ≠ 안전 보건 공단
Q3. 사용법이나 매뉴얼은 어디서 볼 수 있나요?
A3. 안전보건공단 홈페이지에서 찾아 보실 수 있습니다.
공단홈페이지(http://www.kosha.or.kr) > 자료마당
> 안전보건자료실 에서 '이수확인' 으로 검색하시면
이수확인 프로그램과 함께 매뉴얼이 올려져 있습니다.
또는 이수확인 프로그램 좌측 하단의
'안전보건교육 이수 확인 프로그램' 문구를
클릭 하시면 안전보건자료실로 이동하실 수 있습니다.
Q4. 실행이 안되거나 데이터베이스 오류가 발생합니다.
A4. 사용 매뉴얼과 함께 올려져 있는 오류 조치 매뉴얼을
참고하시고, 매뉴얼 상에 없는 오류나 문제점이 발생 시
070-7606-3226 으로 문의 주시기 바랍니다.
Q5. 데이터 이관이나 백업은 어떻게 하나요?
A5. 사용 매뉴얼과 함께 올려져 있는 이관 방법 매뉴얼을
참고하시고, 매뉴얼 상에 없거나 다른 문의사항 있을 시
052-703-0737 로 문의 주시기 바랍니다.
Q18. 산업용 방진 마스크의 올바른 사용법
A18 :
Q19. 2019년 안전보건교육기관 평가결과 안내
A19 :
□ 고용노동부와 안전보건공단에서 2019년 안전보건교육기관*에 대한 평가등급을 공개하였습니다.
* (안전보건교육기관) 안전보건관리책임자 등에 대한 직무교육, 근로자에 대한 안전보건교육,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 등을 대행하는 전문기관
□ 이번 평가는 지난해 9월부터 12월까지 약 4개월 간 진행되었으며, 각 기관의 운영체계, 업무성과 등에 대하여 객관적으로 평가를 실시하였습니다.
< ’19년 안전보건교육기관 평가결과 >
구분 |
계 |
S등급 |
A등급 |
B등급 |
C등급 |
D등급 |
계 |
190 |
19 |
34 |
84 |
31 |
22 |
1. 직무교육기관 |
15 |
- |
4 |
10 |
- |
1 |
2. 안전보건교육위탁기관 |
98 |
2 |
10 |
46 |
22 |
18 |
3. 건설업기초교육기관 |
77 |
17 |
20 |
28 |
9 |
3 |
□ 사업주께서는 평가결과를 활용하여 양질의 교육기관을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 기관별 평가등급 등 자세한 평가결과는 고용노동부(www.moel.go.kr)와 안전보건공단(www.kosha.or.kr)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고용노동부) 정책자료 > 정책자료실 : 확인하기
- (안전보건공단) 알림소식 > 공지사항 : 확인하기
- (안전보건교육포털) : 확인하기
Q20. [안전보건교육 의무 시행] 건설장비(27종) 운전자, 골프장 캐디, 택배원, 퀵서비스 배달원, 대리운전자
A20 :
" 새로운 유형의 노무를 제공하는 자의 산업재해예방을 위하여
특수형태근로종사자에 대해서도 “안전보건교육”을 실시하도록
산업안전보건법이 개정되었습니다."
2020년 1월 16일부터
건설장비(27종) 운전자, 골프장 캐디, 택배원, 퀵서비스 배달원, 대리운전자로부터 노무를 제공받는 자는 「최초 노무 제공시 교육」과 「특별교육」을 실시하여야 합니다.
O 책임주체
· 특수형태근로종사자로부터 노무를 제공받는 자
O 강사자격
· 사업장 소속 관리책임자, 관리감독자 등
· 공단 강사요원 교육과정 이수자
· 산업안전지도사 또는 산업위생지도사 등
· 안전보건교육기관에 위탁 가능
※「산업안전보건법」시행규칙 제26조 제3항, 「안전보건교육규정」(고용노동부 고시 제2020-21호)[별표 1]참조
O 교육시간
최초노무 제공시 교육 |
2시간 이상 (단기간, 간헐적 작업은 1시간 이상, 특별교육 실시한 경우 면제) |
특별안전보건 교육 |
16시간 이상 (단기간, 간헐적 작업은 2시간 이상) |
※ (단기간작업) 2개월 이내에 종료되는 1회성 작업, (간헐적작업) 연간 총 작업일수가 60일을 초과하지 않는 직업
O 교육내용
[최초노무제공시 교육]
· 교통안전 및 운전안전에 관한 사항
· 보호구 착용에 대한 사항
· 기계·기구의 위험성과 작업의 순서 및 동선에 관한 사항
· 작업 개시 전 점검에 관한 사항
· 정리정돈 및 청소에 관한 사항
· 사고 발생시 긴급 조치에 관한 사항
· 직무스트레스 예방 및 관리에 관한 사항 등
※ 특별교육(40종)내용은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별표 5] 참조
O 안전보건공단에서는 특수형태근로종사자 안전보건교육을 무료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O 신청 : 안전보건공단 인터넷교육센터(www.safetyedu.net)
O 문의 : 1644-5656
Q21.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 qr코드로 확인하세요
A21 :
◆ 사용방법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 메뉴 클릭→ 본인인증 및 비밀번호 설정(최초 접속 시) → QR코드(길게 꾹 클릭) 확인 → 휴대폰(사진함) 저장 →
현장 출입 시 QR코드 제시
(※반드시 새로 다운로드 및 설치 하세요!)
Q22. 침수로 인한 감전재해 조심하세요!
A22 : 침수에 의한 감전
전국적으로 감전재해는 6월부터 증가하여 7~8월에 많이 발생하고 있다. 감전사고는 이 시기 약 36%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여름철 장마, 홍수, 침수로 인한 사고로 인한 것으로 보인다.
Q23. 호우복구 시 재해예방
A23 : 호우란?
일반적으로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비가 내리는 것을 말하며, 12시간 80mm 이상일 경우 호우주의보를, 150mm 이상일 경우에는 호우 경보를 발령한다.
Q24. 쯔쯔가무시 등 가을철 열성질환 예방
A24 : 가을철 열성질환이란?
가을철부터 사람들에게 흔히 나타나는 질병이 있는데, 바로 가을철 열성질환이다. 예방이나 사후관리를 잘못하면 크게는 죽음에도 이를 수 있다.
Q25. 추석 앞두고 증가하는 예초기 사고
A25 :
|
추석 성묘를 앞두고 벌초에 나서는 사람들이 많다. 이와 함께 제초 작업에 많이 사용하는 예초기로 인한 안전사고도 많이 발생해 사용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
|
|
예초기 사고 예방을 위한 주의사항 |
|
뱀·벌에 의한 사고 예방법 |
|
Q26. 환절기 심근경색 예방
A26 : 심근경색이란?
심장으로 흘러들어가는 동맥이 막히거나 터져 심장에 피가 공급되지 않아 심장이 동작을 멈추어 급격히 사망하는 질환으로 기온이 크게 변하는 환절기에는 혈관 수축 등이 심하여 더욱 위험하다.
Q27. 겨울철 뇌졸중
A27 :
Q28. '미디어 현장배송 서비스' 안내
A28 :
'미디어 현장배송 서비스'로 안전한 사업장을 만드세요!
o 미디어 현장배송 서비스란?
- 포스터, 표지(스티커) 등 사업장에 필요한 안전보건자료를 인터넷으로 간편하게 신청하고, 현장에서 2~3일 이내에 택배로 받아볼 수 있는 고객 맞춤형 서비스 입니다.
- 자료비용 : 무료
- 배송비용 : 신청자 부담(착불)
o 홈페이지 주소 : https://media.kosha.or.kr/main
Q29. 안전사고 예방 캠페인 동영상
A29 :
안전사고 예방 캠페인 동영상을
신규 제작해 보급하고 있습니다.
사업장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기위해
안전사고 예방 캠페인 동영상을 활용해 보세요
<동영상 시청방법>
1) 안전보건공단 App.의 안전보건자료 메뉴 접속
2) 공단 YouTube(유튜브)계정에 접속
- 공단 YouTube(유튜브) 계정
https://www.youtube.com/watch?v=Ed3S2nY9A7I
Q30. 행복한 일터, 안전에서 시작합니다.
A30 :
연말 급증하는 화물 배송량으로 인해 택배업·운송업 등 넘어짐, 미끄러짐, 교통사고 등 산업재해가 다발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1) 넘어짐 재해 예방
O 물류업
작업 전 안전점검, 안전교육 실시, 차량운전 중 교통신호 준수 등 사고재해 예방을 위해 사전대비에 힘써주시기 바랍니다.
산업재해는 사업주의 관심과 근로자의 참여로 예방할 수 있습니다.
1) 교통사고예방
- 운전 시 교통신호 및 규정속도 준수
- 악천 후 시 규정속도의 50% 감속운행
- 안전벨트 반드시 착용
2) 넘어짐, 부딪힘, 떨어짐 재해예방
- 계단 승강 시 발아래를 보면서 이동
- 박스 운반 시 시야확보
- 물품 운송작업 시 미끄럼 방지화 착용
3) 근골격계 질환 예방
- 물품박스 운반 시 손수레 사용
O 도·소매업
연말 소비 급증으로 도·소매 이용 고객이 증가함에 따라 도·소매업 종사자의 넘어짐, 베임, 근골격계질환 등 산업재해가 다발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작업 전 안전점검, 안전교육 실시, 올바른 보호구 착용 등 사고재해 예방을 위해 사전대비에 힘써주시기 바랍니다.
산업재해는 사업주의 관심과 근로자의 참여로 예방할 수 있습니다.
안전과 근로자의 보호를 위해 조금 더 노력해 주실 것을 다시 한 번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작업장 바닥의 위험요소(물기, 기름기 등) 발견 즉시 제거
- 시야를 확보한 상태에서 짐을 운반
- 미끄럼방지 안전화 착용
2) 끼임, 베임 등의 재해 예방
- 채소절단기 사용시 투입봉 등 적절한 보조도구를 사용하여 안전하게 작업
- 골절기 사용시 면장갑 착용 금지
- 칼, 가위 등의 사용 시 베임방지용장갑 등 착용
3)근골격계 질환 예방
- 장시간 작업을 하지 않도록 작업관리
- 이동대차, 손목보호대 등 착용
- 작업 전, 중, 후 스트레칭 실시 및 적절한 휴식
Q31. 『중소규모 사업장 산업안전보건 길라잡이』 안전보건관리담당자 선임 제도 안내
A31 :
『중소규모 사업장 산업안전보건 길라잡이』
안전보건관리담당자 선임 제도 안내
중·소규모 사업장에 안전보건관리담당자를 선임하도록 「산업안전보건법」이 개정되었습니다.
상시근로자 20인 이상 50인 미만 사업장에는 안전· 보건에 관하여 사업주를 보좌하고 관리감독자에게 조언·지도하는 업무를 수행하는 안전보건관리담당자를 선임해야 합니다.
※ 「산업안전보건법」 제16조의3, 동법 시행령 제19조의4부터 제19조의6까지, 동법 시행규칙 제14조
선임대상과 선임시기는 어떻게 되나요?
△제조업,
△임업,
△하수, 폐수 및 분뇨처리업
△폐기물 수집, 운반, 처리 및 원료재생업,
△환경 정화 및 복원업 중 상시근로자
20인 이상 50인 미만 사업장
※ 「통계법」에 따라 통계청장이 고시한
한국표준산업분류 기준
○ 사업장의 규모에 따라 단계별로 시행.
- 상시근로자 30인~50인 미만 사업장은
2018. 9. 1일부터
- 상시근로자 20인~30인 미만 사업장은
2019. 9. 1일부터
※ 안전보건관리담당자 미선임시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 부과
어떤 업무를 수행하나요?
산업재해 예방을 위하여 다음의
안전·보건에 관한 사항에 대해 사업주를
보좌하고, 관리감독자에게 조언·지도하는
업무를 수행합니다.
• 안전·보건교육 실시
• 위험성평가
• 작업환경측정 및 개선
• 건강진단
• 산업재해 발생의 원인조사,
산업재해 통계의 기록 및 유지
• 산업안전·보건과 관련된 안전장치
및 보호구 구입 시 적격품 선정 등
선임자격은 어떻게 되나요?
안전보건공단의 담당자 양성교육을
이수한 사람 또는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한
안전관리자(시행령 별표4)·보건 관리자
(시행령 별표6)의 자격에 해당하는 사람 중
1명 이상을 선임해야 합니다.
어떤 교육을 받아야 하나요?
안전보건관리담당자 업무수행에 필요한
교육에는 양성 교육과 보수교육이 있습니다.
- 양성교육
안전보건관리담당자로 선임되기 위해서는
공단에서 실시하는 양성교육(16시간)을
받아야 합니다.
- 보수교육
선임 후 매 2년이 되는 날*을 기준으로
전·후 3개월 사이에 직무교육기관에서
실시하는 보수교육(8시간 이상)을
받아야 합니다.
* 30~50인 이상 사업장은 제도 시행일
('18. 9. 1) 이후 매 2년 되는 날 기준
언제, 어디에서
교육을 받아야 하나요?
양성교육은 안전보건공단 전국 지역본부
및 지사에서 사업장 소재지 상관없이
무료로 받을 수 있습니다.
○ 교육대상
- 사업주가 안전보건관리담당자로
선임하려는 자
* 사업장당 2명 이상 신청 가능,
단 `17년 시범교육 이수자는 제외
** `19년 선임대상인 20~30인 사업장의
경우 `18년 교육 이수 시 `19년
선임 가능
○ 교육시간 및 방법 : 16시간
(이러닝 선행학습 5시간
+ 실습·체험 교육 11시간)
○ 교육내용
- 안전보건관리담당자의 업무(10시간)
- 산업안전보건법 주요내용(3시간)
- 업종별 재해사례 및 안전보건자료
활용방법(3시간) 등
○ 준비물
- 본인 여부를 증명할 사진이 있는
신분증 및 이러닝 이수증 지참
○ 수료 기준
- 집체교육 전 이러닝 교육을 수료*
하고 집체 교육과정(11시간)의
90% 이상 출석
* 이러닝 교육은 학습진도 80% 이상 시
시험가능하며, 시험점수 60점 이상
득점해야 수료
※ 양성교육 이수 시 해당 연도
관리감독자 교육시간 인정 (1회 한함)
교육신청은 어떻게 하나요?
○ 교육신청 방법
(집합교육)
포털(www.koshats.or.kr)접속
▶ 회원가입
▶로그인
▶중간관리자 대상 교육
▶안전보건관리담당자 양성 교육
▶교육신청
▶관할 구역 선택
▶교육 과정 선택
▶사업장 정보 입력
▶확인
(이러닝)
포털(www.koshats.or.kr) 접속
▶ 산업안전보건교육원(이러닝교육)
▶회원가입
▶ 로그인
▶안전보건관리담당자 양성교육 검색
▶수강신청
▶교육이수
▶이수증 출력 및 집체교육시 제출
(교육절차)
Q32. 배달종사자 안전
A32 :
Q33. 작업 시작 전 10분이면 우리 회사 안전보건교육 OK
A33 :
법정 안전보건교육 시간을 채우지 못해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까?
전문 강사가 없어 안전보건교육이
어렵다고 느끼십니까?
무엇을 교육해야 할지 답답하십니까?
안전보건교육! 결코 어렵지 않습니다.
현장에서 작업 시작 전 10분만 투자하면
법정 근로자 안전보건교육이 가능합니다.
O 안전보건교육, 몇 시간이나 해야 합니까?
산업안전보건법(제31조 제1항)에 따라 사업주는
분기별 6시간 이상 근로자에 대한
안전보건교육을 해야 합니다.
* 사무직 근로자·판매업무 직접 종사자
·50인 미만 도매업과 숙박 및 음식업
근로자는 매분기 3시간 이상
O 어떻게 하면 교육을 쉽게 할 수 있나요?
매일 작업 시작 전 10분만 투자하면 됩니다.
근로자에게 그날 해야 할 작업의 위험 요인,
안전 주의사항을 설명하는 것만으로도
안전보건교육이 인정됩니다.
산업안전보건교육규정
(고용노동부 고시 제2017-5호, 2017.1.19)
개정으로 생산시설, 근무장소에서
작업 전·후 실시하는 단시간 안전보건교육도
현장교육으로 인정됩니다.
O 무엇을 교육해야 하나요?
안전보건공단 앱에 답이 있습니다.
공단 홈페이지 - 안전보건자료실에
현장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1,679종의
'10분' 안전보건교육용 콘텐츠를 활용하세요.
기계·기구별, 작업별, 직종별, 계절별 자료가
여러분의 교육을 쉽게 도와드립니다.
<안전보건공단 홈페이지를 통한 자료 검색 방법>
공단 홈페이지(www.kosha.or.kr) 접속
▶ 안전보건자료실
▶'10분' 안전보건교육용 콘텐츠
▶ (콘텐츠 목록 내려받아 자료 종류 확인)
▶ 검색창 자료제목 입력 후 '검색'
▶ 자료 내려받아 출력 후 사용
O 교육 했다는 증빙은 어떻게 하나요?
교육 실시 여부를 증명할 수 있는
교육일지 등을 작성해야 합니다.
Q34. 제50회 산업안전보건 강조주간 관련 문재인 대통령 안전메세지
A34 :
제50회 산업안전보건 강조주간 관련 문재인 대통령의 안전메세지 입니다.
<동영상 보는 방법>
방법1 : 위기탈출 안전보건 앱 > 안전보건자료 > 시청각 접속
방법2 : 공단 유듀브 계정 접속 : 동영상 바로가기 클릭
Q35. 설 명절 물류·운반업종 재해예방 특별 강조기간
A35 :
§ 설 명절 물류·운반업종 재해예방 특별 강조기간 §
[ 2018. 2. 9(금) ~ 2. 20(화) (12일간) ]
<물류·운반업 안전수칙>
① 교통사고예방
- 운전 시 교통신호 및 규정속도 준수
- 악천 후 시 규정속도의 50% 감속운행
- 안전벨트 반드시 착용
② 넘어짐, 부딪힘, 떨어짐 재해예방
- 계단 승강 시 발아래를 보면서 이동
- 박스 운반 시 시야확보
- 물품 운송작업 시 미끄럼 방지화 착용
③ 근골격계 질환 예방
- 물품박스 운반 시 손수레 사용
- 작업 전·후 스트레칭 자주 실시
Q36. 사업장을 찾습니다.
A36 :
Q37. ( VR 전용관)안전보건교육을 쉽고 빠르게~
Q38. 이륜차 배달종사자를 위한 우리들의 약속
A38 :
Q39. 2019 산업안전보건강조주간
A39 :
2019 산업안전보건강조주간
산업재해 예방의 중요성을 널리 알리고, 모두의 안전 의식을 높이기 위해 열리는 행사로 1968년 처음으로 시작된 역사를 갖고 있는 강조주간입니다.
산업안전보건강조주간은 국내 안전분야 최고·최대의 행사로 발전해오면서 매년 7월 첫째 주 열리고 있는데요. 우리 산업안전의 현 위치와 발자취를 파악하는데 많은 역할을 하고 있답니다.
'함께 지킬 안전, 모두가 누릴 권리'
2019 산업안전보건강조주간
O 기간 및 장소 : 2019. 7. 1(월) ~ 2019. 7. 5(금), 서울 COEX
O 주최 및 주관 : 고용노동부, 안전보건공단
O 주요 프로그램
<기념행사>
- 기념식 : 7월 1일 10:00
- 지역행사 : 7월 8일 ~7월 19일
* 4개 권역 : 부산, 광주, 대구, 대전세종
<세미나·발표대회>
- 날자 : 7월 1(월) ~ 7월 5일(금)
- 안전보건 세미나, 우수사례 발표대회
<국제안전보건전시회·국제안전보건전시회 개막식>
- 날자 : 7월 1일(월) ~ 7월 4일(목)
* 개막식 : 7월 1일(11:15)
<안전보건 Job Fair>
- 날자 : 7월 1일(월) ~ 7월 3일(수)
- 주요내용 : 1사 1인 채용 릴레이 프로젝트, 취업특강, 설명회, 토크콘서트
Q40. 공지사항 테스트 중입니다.
A40 :
해당 공지사항은 테스트 종료 후 삭제 예정입니다.
Q41. 정부 사고사망 긴급대책 추진
A41 :
O 추락사고 예방
(7월~10월)
추락 발생우려 건설현장 대상, 불시점검 실시
(점검 대상)
작업발판․개구부덮개 등 추락안전조치 여부
(불량현장 및 미개선 시)
즉시시정 및 감독 등 강력한 행정집행 예고
O 끼임사고 예방
(7월~10월)
끼임재해 발생우려 산업현장 대상, 불시점검 실시
(점검 대상)
방호덮개 설치 등 끼임예방조치 여부
(불량현장 및 미개선 시)
즉시시정 및 감독 등 강력한 행정집행 예고
Q42. 빙판길 미끄럼 주의
A42 :
빙판길 미끄럼 주의!!
<이것만은 꼭 지킵시다>
O 사업주
- 미끄럼 주의 표지 부착
- 안전보건교육 실시
- 개인보호구 지급
O 작업자
- 쌓인 눈 즉시 제거
- 모래 및 염화칼슘 뿌리기
- 미끄럼 방지 보호구 착용
Q43. 해빙기 무너짐 주의
A43 :
해빙기 무너짐 주의!!
<이것만은 꼭 지킵시다>
O 사업주
- 사전조사 후 작업계획서 작성 및 교육
- 지반 무너짐 위험방지 조치 계획 수립
O 작업자
- 해빙기 작업 재개 전 점검 실시
- 지반 무너짐 위험방지 조치 이행
<참고사항>
■ 정 의
해빙기란 동절기에 얼어붙어 있던 지반이 상승된 기온에 풀리기 시작하는 2월말에서 3월초까지의 기간을 말하며 각종 구조물의 균열, 지반침하, 토사붕괴 등 사고(재난) 발생위험이 높으며, 안전의식도 해이되기 쉬운 기간임. |
■ 지반침하의 발생원인
해빙기 재해발생 주요원인은 지반침하로 대기중의 온도가 0℃이하로 내려가면 지중의 공극수가 동결되어 약 9%의 체적이 증가(동상현상)하고 0℃ 이상이 되면 동결된 지반이 녹아(융해) 지반의 연약화 및 침하가 발생함.
■ 주요 재해(사고)형태
- 토사 및 석축(옹벽)의 균열․붕괴
- 지붕/슬레이트 교체작업중 지붕 파손-
- 구조물(공장, 담, 창고 등) 벽체 붕괴
- 동절기 동파피해를 입은 기계설비의 이상 동작[공기압축기, 냉각탑 등]
- 지반침하로 야적된 제품 및 원․부재료 하적단 붕괴
- 주상 변압기 등 전기설비의 붕괴․파손
- 각종 지하배관(가스, 상․하수도 등)의 파열․누출
Q44. 지게차로 중량물 운반 할 때
A44 :
지게차로 중량물 운반 할 때!
<이것만은 꼭 지킵시다>
O 사업주
- 지게차 전담자 지정 및 키 관리
- 지게차 전용통로 확보 및 제한속도 지정
- 중량물 취급 작업계획서 작성 및 교육
O 작업자
- 전담자 외 운전 금지
- 전용통로 운행 및 제한속도 준수
- 운전자 시야확보 및 안전벨트 착용
Q45. 높은 곳에서 작업 하기 위해 비계를 사용할 때!
A45 :
높은 곳에서 작업 하기 위해 비계를 사용할 때!
<이것만은 꼭 지킵시다>
O 사업주
- 구조검토 실시 및 조립도 작성
- (특별)안전보건교육 실시
- 개인보호구 지급
O 작업자
- 구조검토 및 조립도 준수
- 작업발판, 안전난간 설치 기준 준수
- 개인보호구(안전모, 안전대 등) 착용
Q46. 감정 노동자를 위해
A46 :
감정 노동자를 위해
<이것만은 꼭 지킵시다>
O 사업주
- 고객 응대 업무매뉴얼 수립·시행
- 치료 및 상담 지원
- 담당자 휴식 부여
O 작업자
- 폭언 발생 시 일시적 업무 중단
- 법적조치 가능 안내
- 업무규정 설명
Q47. 질식 즉사를 예방하기 위해
A47 :
질식 즉사를 예방하기 위해
<이것만은 꼭 지킵시다>
O 사업주
- 밀폐공간 작업 프로그램 수립·시행
- 출입금지 표지 부착
- 안전보건교육 실시
O 작업자
- 유해가스농도 측정
- 지속적인 환기 실시
- 공기호흡기 및 송기마스크 착용
Q48. 여름철 옥외 전기 작업 할 때
A48 :
여름철 옥외 전기 작업 할 때
<이것만은 꼭 지킵시다>
O 사업주
- 전기기계·기구에 접지 실시
- 전원측에 누전차단기 설치
- 전동공구 사용 시 전선의 피복상태 사전 점검
O 작업자
- 전기기기 점검·정비 시 전원 차단
- 절연장갑, 절연장화 등 개인보호구 착용
- 젖은 손이나 발은 말린 후 작업
Q49. 폭염에 쓰러지지 않으려면
A49 :
폭염에 쓰러지지 않으려면
<이것만은 꼭 지킵시다>
O 사업주
- 폭염 발생 시 작업 자제
- 충분한 물과 휴식공간 제공
- 안전보건교육 실시
O 작업자
- 갈증 없어도 수시 물 섭취
- 그늘진 곳에서 수시 휴식
- 동료 건강상태 확인
<참고사항>
O 작업장 온도와 관련 건강영향
- 더운 여름 야외에서 장시간 작업 할 경우 열사병, 열경련, 열허탈 등 고열 작업 환경 관련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O 고열환경으로 인한 질병들
① 열사병
- 증상 : 정신이 혼미한 상태가 지속되거나 뜨겁고 건조한 피부, 비정상적으로 매우 높은 체온 등이 나타남
- 발생원인 : 고열환경으로 인한 신체 체온유지 기능이 저하되어 체온이 일정수준 이상을 넘어 발생
② 열경련
- 증상 : 갑작스런 근육 경련이 발생
- 발생원인 : 고열환경 작업시 다량의 땀 배출로 전해질 불균형이 일어나 발생, 물 보충이 부족하여 생길 수도 있음
③ 열허탈
- 증상 : 체온저하, 현기증, 구토 등이 발생 → 극단적으로 의식을 잃을수 있음
- 발생원인 : 혈액이 한쪽으로 몰리게 되어 뇌가 충분한 산소를 공급받지 못하여 발생
* 급작스럽게 증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단독 작업시 더욱 조심 해야 함
O 더위예방 지침
① 챙이 넓은 모자, 선글라스, 수건, 긴팔 순면 의복을 착용
② 햇빛 가리개, 천막 등으로 가능한 한 햇빛 차단 후 작업
③ 작업 시 물을 많이 마시고, 평소보다 조금 더 염분을 섭취
④ 음주는 탈수현상을 가중시키므로 삼가
⑤ 냉각 젤이나 얼음이 들어 있는 냉각 조끼 등의 냉각도구를 착용
⑥ 힘든 작업은 되도록 시원한 시간대(아침,저녁)에 실시
⑦ 그늘이나 통풍이 잘되는 곳에서 자주 짧은 휴식 실시
『 쾌적한 야외 작업환경 : 기온 16∼19℃, 기습 40∼70%의 약간 기류가 있는 상태』
Q50. 기계 기구 및 설비가 고장나면
A50 :
기계 기구 및 설비가 고장나면
<이것만은 꼭 지킵시다>
O 사업주
- 작업 전 안전작업 절차 및 계획 수립
- 위험성평가 실시 및 안전보건교육 실시
- 위험작업 장소 및 구역 출입제한 조치
O 작업자
- 정비/보수 등의 작업 전 동력 운전 정지
- 전원 잠금장치 설치 및 "점검 중" 표지판 부착
- 안전작업에 필요한 용구/장비 /보호구 착용
Q51. 가을철 야외 작업시에..
A51 :
가을철 야외 작업시에..
<이것만은 꼭 지킵시다>
O 사업주
- 감염병 예방 계획 수립·시행
- 안전보건교육 실시
- 증상 발생 시 즉시 의사 진료 처치
O 작업자
- 풀밭에 눕거나 앉지 말기
- 긴 옷 착용
- 작업 후 목욕 실시
Q52. 용접 작업 할 때..
A52 :
용접 작업 할 때..
<이것만은 꼭 지킵시다>
O 사업주
- 화재감시자 지정 및 작업지휘
- 화기작업허가서 등 화기 작업 절차 수립 및 운영
O 작업자
- 작업 중 지속적으로 통풍·환기 실시
- 용접 전 가연물 제거, 예방조치 후 작업
Q53. 겨울철 뇌심혈관질환 예방
A53 :
찬바람이 불기 시작하면..
<이것만은 꼭 지킵시다>
O 사업주
- 건강증진 프로그램 수립·시행
- 안전보건교육 실시
- 건강진단 지원
O 작업자
- 식습관 개선
- 규칙적인 운동 실시
- 스트레스 관리
Q54. 코로나 블루 이겨낼 방구석 나들이
A54 :
□ 코로나 블루란?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가
장기화됨에 따라 생기는 답답함이나 무기력증을
우울한 뜻의 블루(Blue)와 결합하여 코로나블루
(Corona Blue)라는 신조어까지 등장했습니다.
□ VR로 떠나는 힐링여행
안전보건공단에서는 VR전용관(360vr.kosha.or.kr)과
유튜브 채널(안전보건공단 안젤이)을 통해
안전보건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VR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울산시와 함께만든 울산의 명소인 간절곶, 간월재,
태화강의 자연경관을 담은 힐링 콘텐츠도 있으니
실내에서 VR콘텐츠를 통해 울산의 명소를 여행하면서
우리 모두 코로나 블루를 극복합시다!
※ VR전용관 또는 유튜브 안전보건공단 안젤이 채널
검색창에 '쉼' 검색 후 원하는 컨텐츠 Click!
Q55. 월간 안전보건을 무료로 구독하세요!
A55 :
최신 안전보건정보와 안전보건활동 우수사례가 담긴
월간 안전보건 잡지를 사업장에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바로보기와 구독신청이 가능합니다.
Q56. 패트롤 사업 확대 추진(제조 및 건설업)
A56 :
□ 건설·제조업 패트롤 사업 확대 추진
2019년 특별기획점검(패트롤)을 실시하여
산재사고사망자 수가 855명으로 전년 대비
116명이 감소한 큰 성과를 보여주었습니다.
이에 공단은 패트롤 사업을 정규사업으로 편성하고
건설업에 집중되어 있던 점검을 제조업 분야로
확대하여 실시할 예정입니다.
Q57. 외국인 질식재해 예방자료 안내
A57 :
'20. 4. 9.(목) 15:20경 부산 하수도 공사현장에서
맨홀작업 중 질식사망 재해 발생(중국인 3명)
□ 외국인 질식재해 예방 자료
- 포스터(16개 국어)
- OPL(16개 국어)
- 동영상(8개 국어) : 중국, 태국, 베트남어 3개 국어 영상은
유튜브 및 위기탈출 안전보건 앱에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
□ 자료 보실 수 있는 곳
- 위기탈출 안전보건 앱 > 10분 안전교육 > 안전보건자료
- 공단 홈페이지 > 안전보건자료실(www.kosha.or.kr)
> 전체 자료보기 > 키워드 '질식' 검색
- 기타 : 유튜브 채널(안전보건공단 안젤이),
K2B 사이트 공지사항(k2b.kosha.or.kr)
Q58. 사업장 맞춤형 VR 콘텐츠 제작
A58 :
O 대상
- 제조업 및 건설업 사업장
- 유선 협의 후 5개사 내외 최종 선정(협의처 : 052-703-0732)
- 5월초 중 선정완료
O 주제
- 끼임, 추락, 충돌 재해
O 형태
- 동영상(or 컴퓨터 그래픽) VR
※ 사진 VR은 VR 전용관에서 접수 중
O 추진방법
- 공단 유선협의 후 사업장 방문 촬영 등 진행
O 기타사항
1. 사업장 맞춤형 VR 콘텐츠, PPT 개발 제공
2. 향후 추진 될 찾아가는 VR 사업(VR 장비 및 인력 지원) 우선 지원 : 6월 추진예정
3. 제작된 VR 콘텐츠, PPT 등은 타 사업장에서 활용 가능토록 오픈
Q59. 일터에서 생활 속 거리두기
A59 :
□ 일터에서 생활 속 거리두기 안내
- 증상이 있으면 출근 자제
- 재택근무 및 휴가 적극 활용
- 손 씻기, 기침예절 준수
- 동료와 2m 이상 거리두기
- 매일 2회 이상 환기 실시
- 회의는 영상 회의 활용
Q60. 특수형태근로종사자 안전보건 에피소드 공모전
A60 :
□ 특수형태근로종사자 등의 에피소드 공모전
[공모주제]
특수형태근로종사자 또는 배달종사자와
관련된 안전보건 에피소드
[공모대상]
- 퀵 배달원, 택배기사, 대리운전기사
- 배달종사자
- 산업안전보건에 관심 있는 국민 누구나
[제출양식]
- 참가신청서 및 에피소드(양식 다운로드 바로가기)
- 안전보건공단 E-mail(media@kosha.or.kr) 제출
[공모일정]
- 접수 : `20.5.20. - 6.19.
- 발표 및 시상 : `20.7월 중 예정(개별 연락)
[시상내역]
- 최우수상(1명) 100만원 상당의 상품
- 우수상(1명) 50만원 상당의 상품
- 장려상(2명) 각 30만원 상당의 상품
(하단 첨부파일 참조)
Q61. 찾아가는 VR 교육 신청 안내
A61 :
□ 찾아가는 VR 교육(V-Running) 이란?
- 공단에서 무상으로 VR장비, VR콘텐츠, VR교재를
제공하는 사업으로, 사업장에서는 교육을 진행할
장소와 강사만 준비하시면 됩니다.
□ 어디서 신청하나요?
- 공단 VR전용관의 찾아가는 VR 메뉴에서
신청하시면 됩니다.
Q62. 여름철 자연재난 대응수칙
A62 :
여름철에 발생할 수 있는 자연재난 관련 콘텐츠를
안내하오니 많은 활용 바랍니다.
○ 안전보건자료 > 안전보건정보 > 리플릿(OPL)
- 태풍 발생시 산업현장 대처 요령
- 재난 및 재해 발생시 대응 관리
- 폭우로 침수된 지하계단에서 침수 위험
○ 태풍, 집중호우 등 자연재난 비상대피 핵심수칙 리플릿
Q63. 월간 「안전보건」 웹진 Open
A63 :
지난 30여년간 지면으로 독자를 만나왔던
월간 안전보건이 웹진으로 재탄생했습니다.
많은 관심과 응원 부탁드립니다.
<월간 안전보건 웹진 OPEN 기념 이벤트>
○ 참여방법 : 웹진 접속 → 구독신청 버튼클릭
→ 이메일 주소 입력
○ 이벤트 기간 : `20년 9월 30일 까지
○ 당첨자 발표 : 웹진 10월호 이벤트페이지 공개
(10월 초 예정)
○ 당첨자 선물 : 스타벅스 아메리카노 Tall 1잔(20명)
Q64. 안전보건공단 X 오마이걸(효정&승희) 안전송 뮤직비디오
Q65. VR 전용관 및 콘텐츠 고객설문 조사 참여
A65 :
□ VR 전용관 및 콘텐츠 고객 만족도 조사
- VR 콘텐츠를 활용한 교육에 대한 고객 만족도
설문 조사를 실시하오니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 설문기간 : `20.09.15.(화) ~ 28.(월)
Q66. VR 전용관 안내
A66 :
□ VR 전용관에서 안전보건교육을?!
- 지루한 안전보건교육은 이제 그만!
실감나고 기억에 남는 안전보건교육을 위해
VR 전용관에는 교육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VR 콘텐츠가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되고 있습니다!
지금 바로 방문해보세요!
☞https://360vr.kosha.or.kr/main
□ 찾아가는 VR? 맞춤형 콘텐츠?
- 찾아가는 VR 신청 게시판에 글을 남겨주시면
사업장을 직접 방문하여 VR 장비를 지원해드립니다!
- 맞춤형 콘텐츠 제작을 신청하시면
공단에서 직접 방문하여 사진촬영 후
정보제공형 VR 콘텐츠로 제작해드립니다!
Q67. 경사지붕 추락 재해 예방을 위한 자료 안내
A67 :
□ 지붕 추락 재해를 예방 대책
- 추락방호망 또는 적절한 작업발판 설치
- 안전대 부착설비에 안전대 걸고 작업 실시
- 개인보호구 착용 철저
- 충분한 강도를 가진 안전난간 설치
□ 지붕 추락 관련 자료 보러가기
※자료명을 클릭하시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됩니다.
<미디어 현장배송 서비스>
<안전보건공단 자료실>
Q68. 건설현장 추락 재해 예방대책
A68 :
□ 건설현장 추락사고 예방대책
- 안전통로 확보
- 안전한 구조의 비계 발판 및 난간 설치
- 개구부 추락방지조치 철저
- 이동식 사다리의 올바른 사용
□ 추락사고 관련 자료 보러가기
※자료명을 클릭하시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됩니다.
<미디어 현장배송 서비스>
<홈페이지 자료실>
Q69. 앱 업데이트 방법 및 확인
A69 :
① Play 스토어 또는 앱 스토어 실행
② '위기탈출 안전보건' 또는 '안전보건공단' 검색 후 선택
③ '업데이트' 버튼 클릭
※ '열기' 버튼인 경우는 이미 업데이트 완료 된 상태 입니다.
[Play 스토어]
[앱 스토어]
Q70. [안전보건공단 X 달지] 슬기로운 안전생활
A70 :
□ 랩하는 초등학교 선생님 달지!
- 1일 안전지킴이로 변신!
- 화재 시, 교통사고 시, 지진 발생 시
안전 대피 방법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Q71. [사고사망예방 Quick Message] 슬러지 청소 중 질식재해 발생
A71 :
□ 폐수처리장 슬러지 청소 중 질식재해 발생
도금업체의 폐수처리업체에서 슬러지 청소 작업 중
황화수소(추정) 에 의한 질식으로 1명이 사망하고,
이를 구조하려던 작업자 1명이 중태(의식불명)에 빠짐
□ 밀폐공간에서의 올바른 작업 방법
작업 전 10분 이상 충분한 환기뿐 아니라
작업 중에도 지속적인 환기를 실시해야 함
※ 자세한 내용은 공단 홈페이지 자료실에서 확인 가능
Q72. 외국인 노동자 코로나19 집단감염 발생(`21.3.3.)
A72 :
□ 외국인 노동자 코로나19 집단 감염 발생
최근 동두천에서 80여명의 외국인 노동자들이 코로나19
확정을 받는 등 남양주 지역 집단 감염 이후 지속 발생 중
□ 사업장 기본 예방수칙
노동자들에게 방역지침 안내 및 교육을 실시하고 작업공간
밀집을 최소화 하는 등 작업자간 거리를 확보해야 함
※ 자세한 내용은 공단 홈페이지 자료실에서 확인 가능
Q73. [사고사망예방 Quick Message] 우레탄 폼 화재폭발 사고 속보
A73 :
□ 건설현장 우레탄 폼 캔 단열작업 화재
- 최근 건축물의 단열·보온작업에 우레탄 폼 캔
사용과정에서 화재사고가 연이어 발생
(`21.01.15.) 호텔 천정 단열·보온작업 중 화재
(`20.12.01.) 아파트 창호 교체공사 중 화재·폭발
(`20.12.26.) 단독주택 공사 중 폭발
- 우레탄 폼 캔(용기)의 화재·폭발 위험에도 불구
작업 현장에서는 위험성을 잘 모르는 실정
Q74. 옥외작업자를 위한 미세먼지 대응 건강보호 가이드
A74 :
□ 옥외작업자 단계별 건강수칙
- 민감군 사전확인
- 유해성 주지 및 마스크 착용 교육·훈련 등
- 미세먼지 농도 정보 제공
- 마스크 지급 및 착용
- 민감군에 대해 중작업 감소 및 휴식시간 추가배정
- 적절한 휴식 배정
- 중작업 일정조정 또는 단축
□ 미세먼지로부터 건강을 지키는 마스크
- 사업주는 방진마스크 또는 KF80이상의
보건용 마스크를 사업장에 비치하고,
노동자가 원할 때마다 수시로 착용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 자료실에서 조회 가능
Q75. 안달남 조우종의 폭풍검색!
A75 :
안.달.남.(안전 차트를 달리는 남자) 조우종이
써치맨으로 돌아왔다!
우리의 써치맨이 안전에 관한 정보는
무엇이든 검색해 알려드립니다!
가연물 화재위험작업편
☞ https://youtu.be/atDvwkpZ9Kc
타워크레인 신호수편
☞ https://youtu.be/PA-9g7P22Lo
끼임재해예방 1편
☞ https://youtu.be/KeHlDQ-4454
끼임재해예방 2편
☞ https://youtu.be/vV7V_WmJEUA
폐기물 탱크로리 폭발사고편
☞ https://youtu.be/6zvdpl_o4YI
해당 자료는 공단 자료실에서도 확인 가능합니다.
Q76. [사고사망예방 Quick Message] 벌목작업 부딪힘-깔림 사고 속보
A76 :
□ 벌목작업 중 벌도목에 의한 재해
- 최근 벌목작업에서 벌도목에 깔리거나 부딪히는
사망사고가 연속으로 발생
(`21.03.22.) 남해 산림 조림 사업현장 벌도목 충돌
(`21.03.19.) 진안 작물재배 신축 공사현장 벌도목 깔림
Q77. [사고사망예방 Quick Message] 주택개조공사 붕괴 사고 속보
A77 :
□ 주택개조 공사현장 붕괴사고 발생
- (`21.04.04.) 광주 소재 한옥주택 개조 공사현장에서
철골빔 보강작업 중 지붕의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주택이 붕괴되어 2명이 사망하고 2명이 부상
Q78. [사고사망예방 Quick Message] 달비계 사용 외벽공사 사고 속보
A78 :
□ 달비계 사용 외벽작업 중 추락 사고 발생
- (`21.04.09.) 나주 아파트 도장작업 중 추락
- (`21.03.26.) 고양 아파트 실리콘 보수공사 중 추락
- (`21.03.25.) 양천 아파트 누수확인작업 중 추락
- (`21.03.16.) 용인 아파트 창틀 누수방지작업 중 추락
- (`21.03.11.) 용인 아파트 크랙보수 공사 중 추락
Q79. 안전보건공단 X 광고천재 이제석
Q80. [사고사망예방 Quick Message] 차량계 건설기계 사망사고 속출
A80 :
□ 차량계 건설기계 사망사고 속출
- (`21.04.26.) 충북 도로공사 현장 덤프트럭 후미에 깔림
- (`21.04.17.) 전남 지중화공사 현장 굴삭기 깔림
- (`21.04.16.) 전북 석축공사 현장 굴삭기에 끼임
- (`21.04.14.) 부산 건설현장 이동식크레인에 끼임
- (`21.04.07.) 서울 교량 공사 현장 덤프트럭에 깔림
□ 안전 작업 방법
- 사용전 점검사항
① 건설기계의 성능 및 능력 검토
② 지하 매설물 현황 조사
③ 지반 침하 및 단부 붕괴 예방조치 등
- 주요 안전조치
① 전조등 설치
② 접촉 위험장소 근로자 출입금지
③ 유도자 배치 등
Q81. [사고사망예방 Quick Message] 건설현장 비계 추락
A81 :
□ 건설현장 비계 추락 사망 사고가 연이어 발생
(5. 12.) 양천구 주택공사 현장서 미장작업 중
슬라브와 비계 사이로 추락
(5. 11.) 김포 건물공사 현장서 거푸집 작업 중 추락
(5. 10.) 은평구 건물공사 현장서 외부비계에서 추락
□ 안전 작업 방법
- 추락방지조치
① 충분한 강도를 가진 구조의 난간 설치
② 개구부에 안전난간, 울타리, 추락방방 설치 등
- 작업발판구조
① 견고한 발판재료 사용
② 둘 이상의 지지물에 고정
③ 폭 40cm 이상, 발판 간격 3cm 이하
Q82. [사고사망예방 Quick Message] 기계설비 점검·수리 중 끼임 사고 발생
A82 :
□ 기계·설비 점검·수리 중 끼임 사고 연속 발생
- 최근 기계설비 점검 및 수리 작업 중
끼임 사망 사고가 연이어 발생
(`21.05.06.) 힌지제조 공장 자동조립기 점검 중 끼임
(`21.05.08.) 제철소 가열로 점검 중 워킹빔에 끼임
(`21.05.12.) 석재공장 할석기 수리 중 톱날에 끼임
□ 안전 작업 방법
[사업주 안전관리]
- 수리, 점검, 청소 등 작업 시 담당자가 전원을
차단 및 관리 하도록 함
- 비상상황 시 비상정치장치를 신속히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
- 작업자가 안전수칙을 지키도록 관리 및 감독 등
[작업자 안전수칙]
- 수리, 점검, 청소 등 작업 전 주전원 차단
- 전원 스위치 잠금장치 후 담당자가 열쇠 보관
- "점검중 조작금지" 표지판 부착 및 알림
- 방호장치 임의 해제 금지 등
※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 자료실에서 조회 가능
Q83. 안전보건공단 교육 채널 「이용자 만족도 설문조사」
Q84. [사고사망예방 Quick Message] 사다리 작업 중 추락사고 연속발생
A84 :
□ 사다리 작업 중 추락사고 연속발생
- 최근 이동식 사다리에서
추락 사망 사고가 연이어 발생
(`21.06.11.) 인천 아파트 현관 등기구 교체 중 추락
(`21.06.10.) 수원 조립식 건물 해체 중 추락
□ 안전 작업 방법
[필수 안전작업지침]
- 경작업, 고소작업대 및 비계 등의 설치가
어려운 장소에서만 사용
- 모든 사다리 작업 시 안전모 착용, 작업높이가
2m 이상인 경우 안전대 착용
- 2인 1조 작업 등
※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 자료실에서 조회 가능
Q85. '추락예방' 산업안전 캠페인
A85 :
□ '추락예방' 산업안전 캠페인
- 작업 전 10분 안전점검, 당신의 생명을 지킵니다!
Q86. [사고사망예방 Quick Message] 중량물 취급작업 중 줄걸이 파단 사고
A86 :
□ 중량물 취급작업 중 로프파단 사고 연속발생
- 최근 중량물 인양 작업 중 로프 파단으로
낙하물에 맞는 재해가 연이어 발생
(`21.06.25.) 과천 신축공사 타워크레인 조립 중
벨트슬링 파단으로 자재 낙하
(`21.06.17.) 부산 신축공사 철근 인양 중 훅 블럭 낙하
(`21.05.27.) 안동 관정공사 자재 인양 작업 중
로프파단으로 자재 낙하
□ 안전 작업 방법
[줄걸이용구 안전작업지침]
- 매 작업시작 전 점검
- 주 1회 또는 월 2회 이상 정기 상세점검 실시
- 사용 금지한 것은 재사용 불가하도록 조치 등
※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 자료실에서 조회 가능
Q87. [사고사망예방 Quick Message] 리프트 작업 중 사고 속보
A87 :
□ 리프트 추락 사망사고 연속 발생
- 최근 리프트 작업 중 와이어로프 파단 등으로
운반구와 함께 추락하는는 재해가 연이어 발생
(`21.07.05.) 부산에서 리프트 점검 중
운반구 급하강으로 작업자 추락
(`21.07.03.) 용인에서 이삿짐 운반용 리프트의
와이어로프 파단으로 작업자 추락
(`21.07.02.) 대구 침구공장 자재 운반 중 리프트 추락
□ 안전 작업 방법
[사업주 조치사항]
- 작업시작 전 방호장치 및 브레이크 등 점검
- 달기기구용 와이어로프 및 체인에 상태 확인 후
심한 변형/부식 등이 있을 시 즉시 교체 등
[근로자 조치사항]
- 작업시작 전 안전점검 철저
- 정격하중 초과 금지
- 화물과 함께 탑승 금지
- 개인 보호구 착용
※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 자료실에서 조회 가능
Q88. [사고사망예방 Quick Message] 폭염 사망사고 속보
A88 :
□ 폭염으로 인한 사망사고 연속발생
- 최근 폭염이 지속됨에 따라 온열질환(추정)으로
인한 사망재해가 연속 발생함
(`21.07.22.) 서울 건설현장에서 거푸집 설치 중
잠시 휴식 취하다 쓰러져 사망
(`21.07.19.) 서울 건설현장에서 미장작업 중 쓰러져 사망
(`21.07.16.) 양주 건설현장에서 옥상 작업 중 쓰러져 사망
□ 안전 작업 방법
[물]
- 시원하고 깨끗한 물 제공
- 규칙적으로 물 섭취
[그늘]
- 작업 장소 가까운 곳에 그늘진 장소 마련
- 그늘막은 햇볕 완전 차단 재질 선택
[휴식]
- 폭염 특보시 매시간 10~15분 규칙적 휴식
- 무더위 시간대(14~17시) 옥외작업 자제
- 작업자가 건강상의 이유로 작업 중지 요청시 즉시 조치
※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 자료실에서 조회 가능
Q89. 공공저작물 활용 창작 공모전
A89 :
□ 공공저작물 활용 창작 공모전
(주최 : 문화체육관광부, 주관 : 한국문화정보원, 후원 : 안전보건공단)
- 소개 : 안전보건공단 콘텐츠를 활용하여 사고사망 예방에 기여할 수 있는 새로운 콘텐츠를 창작해주세요!
- 기간 : `21.8.2.(월) ~ 9.12.(일) 자정
- 시상 : 우수상 1명(또는 1팀) 상금 50만원 및 안전보건공단 이사장 명의 상장(11월 예정)
** 자세한 공모전 요강은 아래 링크를 참조해주시기 바랍니다**
(링크 연결이 안되시는 분은 아래 링크를 통해 접속해주세요)
https://www.kogl.or.kr/news/noticeView.do?dataIdx=191
Q90. [사고사망예방 Quick Message] 전기판넬 점검 중 감전사망사고 발생
A90 :
□ 전기판넬 점검 중 감전 사망사고 발생
- 최근 전기판넬 점검 중 감전으로 인한
사망사고가 발생함
(`21.08.04.) 여수 전기판넬 점검 중 통전케이블에
접촉하여 감전
□ 안전 작업 방법
[핵심 안전조치]
- 감전위험 작업 시 자격을 갖춘 자가 수행
- 노출된 충전부 전로 차단
- 전로 차단절차 준수
- 보호구 착용 및 감시인 배치 등
※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 자료실에서 조회 가능
Q91. [사고사망예방 Quick Message] 엘레베이터용 피트 작업 중 추락사고 발생
A91 :
□ 엘리베이터 피트 내 작업 중 추락 연속 발생
- 최근 엘리베이터 피트 내부 작업 중
추락하는 재해가 연속으로 발생함
(`21.08.29.) 부산 엘리베이터 피트 내부 용단 중
바닥 철판 붕괴로 추락
(`21.08.29.) 경기 화성 엘리베이터 홀 판넬 설치 중 추락
□ 안전 작업 방법
[엘리베이터 설치 안전작업 절차]
- 안전난간, 작업발판, 추락방지망 등 설치
- 안전대 부착설비 설치 및 개인보호구 착용
- 작업지휘자 지정 등
※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 자료실에서 조회 가능
Q92. 명절 전·후 건설현장 안전보건활동 강화
A92 :
□ 추석 연휴 전·후 건설현장 안전보건활동 강화
- 추석 연휴를 앞두고 공사기간 단축을 위한
혼재작업 등으로 화재 및 사망사고 위험요인이
증가하오니, 연휴 기간 동안은 가급적 작업을 지양하고,
자율 점검을 실시하시기 바랍니다.
Q93. 산업안전 위험현장 집중단속
A93 :
□ 산업안전 위험현장 집중단속
- 고용노동부와 안전보건공단은
전국 추락·끼임 위험 현장을 불시 점검 합니다.
- 집중 단속기간 : `21.08.30 ~ 10.31.
Q94. [사고사망예방 Quick Message] 공작기계 작업·점검 중 사망사고 연속 발생
A94 :
□ 공작기계 작업·점검 중 사망사고 연속 발생
- 최근 공작기계 작업/수리/점검 중 끼이거나 날아와
맞는 재해가 연속 발생함
(`21.10.22.) 시흥 금속가공 공장 머시닝센터 내부
AS작업 중 자동공구교환장치에 끼임
(`21.10.20.) 보령 자동차부품제조 공장 머시닝센터 내부
점검 중 갠트리로더 하강으로 끼임
(`21.10.20.) 안산 금속가공 공장 CNC 선반 작업 중
회전하던 JAW가 파단되면서 날아와 맞음
□ 안전 작업 방법
[유해·위험요인]
- 회전체 접촉으로 신체 감김 및 끼임
- 청소·수리·보수·점검 시 불시 기동으로 끼임
- 작업 중 날아온 가공물 또는 파편에 맞음
[재해 예방대책]
- 청소·수리·보수·점검 시 설비 정지·전원차단 및 잠금장치
- 작업 시작 전 안전장치 정상 작동 확인
- 동작중인 회전체 및 이송체 직접 접촉 금지 등
※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 자료실에서 조회 가능
Q95. 2022년 '호랑이의 해' 안전보건공단 달력 배포
A95 :
□ 2022년 '호랑이의 해' 안전보건공단 달력 발간
[스마트폰 잠금화면]
[탁상용 달력]
Q96. 위기탈출 안전보건 앱 업그레이드 실시
A96 :
위기탈출 안전보건 앱이 업그레이드 되었습니다.
이번 업그레이드에서는 10분 안전보건 교육 기능이 더욱 업그레이드 되었습니다.
- 집체교육 모드 추가
- 본인 교육이력 확인 기능 추가
- 교육생이 교육이력을 강사에게 보내야 하는 불편 사항 개선 등
위기탈출 안전보건 앱을 활용한 안전보건교육 이용 매뉴얼은
안전보건공단 홈페이지(www.kosha.or.kr)의
안전보건자료실(2019 안전보건교육 이수확인 프로그램)에
업로드되어 있습니다.
Q97. 앱 이용 관련 전화문의 안내
A97 :
O 건설업 기초 안전보건교육
052-703-0709
O 앱 교육 등 이용방법 문의
052-703-0735
O 안전교육대상조회(안전보건교육기관) 관련 문의
052-703-0718
O 기타 문의
052-703-0648
052-703-0468
인터넷교육센터 고객센터
1644-5656
Q98. 옥외작업자를 위한 미세먼지 대응 건강 가이드
A98 :
O 옥외작업자?
주로 실외 작업공간에서 일하는 노동자를 말하며, 건설‧조선노동자, 항공‧항만 하역운송 노동자, 도로정비 노동자, 환경미화원, 우편배달부, 전기통신 노동자 등 다양한 직종이 있을 수 있습니다. 실내라 하더라도 창문 등을 열고 작업함으로써 실외의 환경과 차이가 없는 작업공간에서 작업하는 노동자를 포함합니다.
O 미세먼지란?
미세먼지란 공기 중의 고체상태의 입자와 액적(液滴) 상태의 입자의 혼합물을 말하며, 먼지의 크기에 따라 미세먼지(PM10, 지름이 10㎛보다 작은 입자)와 초미세먼지(PM2.5,지름이 2.5㎛보다 작은 입자)로 구분합니다.
O 건강장해
미세먼지에 장기간 노출되는 경우 기관지염, 천식, 폐기종 등의 호흡기 질환과 결막염, 피부염, 심혈관계질환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O 미세먼지 경보 구분
구분 | 미세먼지 (PM10) | 초미세먼지 (PM2.5) |
미세먼지 주의보 | 150 ㎍/㎥ 이상 | 75 ㎍/㎥ 이상 |
미세먼지 경보 | 300 ㎍/㎥ 이상 | 150 ㎍/㎥ 이상 |
O 단계별 예방조치
<사전준비 단계>
(민감군 확인) 옥외 작업자 중 폐질환(천식 등)이나 심장질환이 있는 사람, 고령자, 임산부 등(이하 ‘민감군’이라 함) 미세먼지에 노출되었을 경우 건강 영향을 받기 쉬운 노동자를 미리 파악하세요.
(연락망 구축) 미세먼지 농도에 따른 작업시간 제한이나 건강이상자 긴급보고 등을 위한 비상연락망을 구축‧정비하십시오.
(교육 및 훈련) 미세먼지의 유해성과 농도 수준별 조치사항, 개인위생 관리, 방진마스크 착용방법 등에 대해 교육‧훈련을 하십시오.
☞ 본 교육은 산업안전보건법 제31조에 따른 근로자 정기안전보건교육 내용으로 실시할 수 있습니다.
(미세먼지 농도 확인) 수시로 미세먼지 농도를 확인하고 단계별 조치해야 할 사항을 미리 확인해 두십시오.
(마스크 비치) 마스크를 비치하고, 옥외작업자가 마스크 착용을 원하는 경우 사용할 수 있도록 하십시오.
<미세먼지 주의보 단계> 미세먼지 예보기준 ‘매우나쁨’ 또는 주의보가 발령된 경우부터 적용 (PM2.5 75 ㎍/㎥ 이상 또는 PM10 150 ㎍/㎥ 이상)
(미세먼지 정보 제공) 미세먼지 주의보가 발령되면 옥외작업자에게 발령사실과 아래의 조치사항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십시오.
(마스크 지급 및 착용) 옥외 작업자에게 마스크를 지급하고 착용하도록 하십시오.
☞ 안전보건공단 인증(2급 이상) 방진마스크 또는 식약처 인증(KF80 이상) 보건용 마스크를 준비하십시오.
※ 마스크는 1회용 마스크입니다. 작업내용, 사용시간 등을 고려하여 수시로 교체할 수 있도록 충분히 준비하십시오.
※ 미세먼지 용 보건용 마스크(식약처 인증)도 산업안전보건관리비로 사용 가능
☞ 마스크 착용 시 현저한 호흡 불편을 느끼는 노동자의 경우 방진마스크 착용이 오히려 건강에 안 좋은 영향을 줄 수 있으니 사전에 의사와 상담하도록 권고하십시오.
(민감군에 대한 추가조치) 민감군에 대해서는 가능한 중작업(重作業)을 줄이거나 자주 휴식할 수 있도록 하십시오.
☞ ‘민감군’이란 만성 폐질환(천식 등)이나 심장질환이 있는 사람, 고령자, 임산부 등을 말합니다. 미세먼지 예보 등을 확인하여 민감군의 작업일정을 사전에 조정해 둘 필요가 있습니다.
☞ ‘중작업(重作業)’은 중량물 옮기기, 해머질, 톱질이나 도끼작업, 중량물이 담긴 손수레를 밀거나 당기는 작업 등 에너지 소모가 많은 작업을 말합니다.
<미세먼지 경보 단계> 미세먼지 경보가 발령된 경우부터 적용 (PM2.5 150 ㎍/㎥ 이상 또는 PM10 300 ㎍/㎥ 이상)
(미세먼지 정보 제공) 미세먼지 경보가 발령되면 옥외작업자에게 발령사실과 아래의 조치사항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십시오.
(마스크 지급 및 착용) 옥외 작업자에 방진마스크를 지급하고 착용하도록 하십시오.
☞ 안전보건공단 인증(2급 이상) 방진마스크 또는 식약처 인증(KF80 이상) 보건용 마스크를 준비하십시오. (※ 마스크는 1회용 마스크입니다. 작업내용, 사용시간 등을 고려하여 수시로 교체할 수 있도록 충분히 준비하십시오.)
※ 미세먼지 용 보건용 마스크(식약처 인증)도 산업안전보건관리비로 사용 가능
☞ 마스크 착용 시 현저한 호흡 불편을 느끼는 노동자의 경우 방진마스크 착용이 오히려 건강에 안 좋은 영향을 줄 수 있으니 사전에 의사와 상담하도록 권고하십시오.
(휴식) 휴식시간을 자주 갖도록 조치하십시오.
☞ 휴식시간에는 미세먼지의 영향을 적게 받는 공간에서 깨끗한 음료를 섭취할 수 있도록 하십시오. 필요시 물 양치질이나 세면을 할 수 있도록 하십시오.
(중작업(重作業) 일정 조정) 가능한 중작업(重作業)은 다른 날에 하도록 일정을 조정하거나 불가피한 경우 작업량을 줄이십시오.
☞ ‘중작업(重作業)’은 중량물 옮기기, 해머질, 톱질이나 도끼작업, 중량물이 담긴 손수레를 밀거나 당기는 작업 등 에너지 소모가 많은 작업을 말합니다.
(민감군에 대한 추가조치) 민감군에 대해서는 작업량을 줄이고 휴식시간을 추가로 배정하십시오.
☞ ‘민감군’이란 만성 폐질환(천식 등)이나 심장질환이 있는 사람, 고령자, 임산부 등을 말합니다. 미세먼지 예보 등을 확인하여 민감군의 작업일정을 사전에 조정해 둘 필요가 있습니다.
O 이상 징후자에 대한 조치
(이상 징후자에 대한 작업전환 또는 작업중단) 옥외작업 중 호흡곤란이나 그 밖의 건강이상 증상을 느끼는 노동자에 대해서는 정해진 휴식시간과 상관없이 스스로 작업을 중단하고 쉴 수 있도록 하고 필요시 의사의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십시오.
☞ 이상 징후가 있어 스스로 작업을 중단한 노동자에 대해 불이익(징계나 처벌 등)이 없도록 하십시오.
O 대기오염도 실시간 공개 : www.airkorea.or.kr
Q99. [사고사망예방 Quick Message] 폐기물처리용 컨베이어 끼임 사고 연속 발생
A99 :
□ 폐기물처리용 컨베이어 사망사고 연속 발생
- 최근 컨베이어 끼임·말림 재해가 연속 발생함
(`21.11.17.) 건설폐기물 처리장에서 갑자기
동작된 컨베이어에 의해 파쇄기로 들어감
(`21.11.01.) 건설폐기물 처리장에서 컨베이어
이물질을 제거하다 팔이 말림
(`21.02.22.) 건설폐기물 처리장에서 회전벨트
외측 이물질을 제거하다 머리와 팔이 말림
(`21.01.28.) 건설폐기물 처리장에서 벨트 상부
청소 중 갑자기 동작된 컨베이어에 머리가 끼임
(`21.01.08.) 건설폐기물 처리장에서 컨베이어
점검 중 갑자기 동작된 컨베이어에 끼임
□ 안전 작업 방법
[유해·위험요인]
- 컨베이어 벨트, 체인, 스크류에 작업복이나
신체 일부가 감김 또는 끼임
- 기계가동 중 정비·수리 작업 시 끼임
- 정비·수리 시 타작업자가 기계를 가동시킴
- 경험·지식 없는 작업자 임의 작업
[주요 안전대책]
- 끼임·말림 위험요소에 덮개, 울 및 건널다리 설치
- 상시 작동 가능한 비상정지장치 설치
- 정비·수리 시 설비 사용 금지 및 LOTO 실시
※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 자료실에서 조회 가능
Q100. 2022년 1월 앱 업데이트 공지사항
A100 :
□ 교육내역 메일 전송 실시
- 2022년 1월 중으로 앱이 개편될 예정입니다.
- 개편된 앱에서는 더 이상 이전 교육내역이
보이지 않으므로, 사전에 교육담당자에게
전송해주시기 바랍니다.
□ 개편 내용
- 사업장 교육대상여부 조회 기능 추가
- 회원가입/로그인 기능 도입
- 동시교육 기능 개선
- 1:1 교육 기능 삭제
Q101. [사고사망예방 Quick Message] 어업 작업 중 익사 사고 발생
A101 :
□ 선상 및 수중에서 어업 작업 중 익사 사고 연속 발생
- (`22.02.28.) 어선에서 투망 작업 중 로프에 걸려
바다에 빠짐 <2명 사망>
- ('22.03.02.) 해양 양식용 설비 교체를 위한
잠수 작업 중 익사 <1명 익사>
□ 안전 작업 방법
- 작업자가 즉시 전원 차단할 수 있는 위치에
비상정지장치 또는 동력차단장치 설치
- 작업 전 로프 및 로프가이드 상태 점검 및
작업 시 개인보호구 착용
- 작업 중 간섭이 발생할 수 있는 작업장소와
보행통로의 로프 및 어구 정리정돈 철저
- 잠수작업설비(잠수기, 압력조정기, 신호밧줄,
수중시계 등)의 정기적인 점검 실시
※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 자료실에서 조회 가능
Q102. 이수확인 웹사이트 안내
A102 :
□ 이수확인 웹사이트
- 접속 URL : https://m.kosha.or.kr:4433/kscms/edu
- 기존 이수확인 프로그램 기능을 구현한 웹사이트로
교육담당자가 근로자들의 앱 교육내역을 확인
- 교육담당자 회원가입 후 로그인하여 소속 사업장
근로자들의 앱 교육 내역을 확인
※ 사업장 당 한 개의 ID 발급 가능
Q103. 앱 개편 이용 매뉴얼 안내
A103 :
□ 앱 개편 내용 매뉴얼 안내
- 위기탈출 안전보건 앱이 개편됨에 따라
관련 내용을 매뉴얼로 작성하여 안내드립니다.
- 해당 매뉴얼은 공단 홈페이지 자료실에서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Q104. [사고사망예방 Quick Message] 열교환기 폭발 사고 발생
A104 :
□ 열교환기 폭발 사고 발생
- 화학설비 및 부속설비 관련 작업 중 폭발 사고 발생
(`22.02.11.) 여수 화학공장에서 열교환기 기밀
테스트 중 폭발 사고 발생
(`21.12.13.) 여수 용제 제조공장에서 저장탱크
통기관 연결 중 화재·폭발 발생
□ 안전 작업 방법
- 화학설비 및 부속설비 점검·정비·검사 철저
- 화학설비 및 부속설비 안전 설계·시공 내실화
- 화학설비 및 부속설비 가동 전 점검 철저
- 화학설비 및 부속설비 공정위험성평가 실시 철저
※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 자료실에서 조회 가능
Q105. [사고사망예방 Quick Message] 금속제품 세척제 급성 중독사고 발생
A105 :
□ 금속제품 세척 작업 중 집단 급성 중독사고 발생
- (`22.02.16.) 창원 에어컨 부속 제조업체에서 세척 작업 중
트리클로로메탄(클로로포름)에 집단 급성중독<16명 중독>
□ 안전 작업 방법
- 세척제는 유해성이 낮은 제품을 선정
- 국소배기장치 설치 가동 및 방독 마스크 착용
- 세척공정 격리
※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 자료실에서 조회 가능
Q106. 모바일 안전보건자료 목록 안내('23.3.15.기준)
A106 :
ㅁ 모바일 안전보건자료 목록 안내
- 위기탈출 안전보건 앱 내 '안전보건자료' 메뉴의
목록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해당 목록은 공단 홈페이지 안전보건 자료실에서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Q107. [사고사망예방 Quick Message] 사다리 추락사고 연속 발생
A107 :
□ 이동식사다리 작업 중 추락 사망사고 연속 발생
- ('22.07.07.) 사다리 위에서 배관 점검 중
3.7m 아래 바닥으로 추락 <1명 사망>
- ('22.07.06.) 공사 현장에서 처마 마감 중
A형 사다리에서 1.67m 아래 바닥으로 추락
<1명 사망>
- ('22.07.04.) 오수 배관 점검 중 사다리가
부러지며 추락 <1명 사망>
- ('22.07.03.) 배기설비 수리를 위해 사다리
작업 중 1.3m 아래 바닥으로 추락
<1명 사망>
- ('22.06.28.) 전등교체 작업 중 사다리를
잡고 있던 보조자가 물품 전달을 위해
사다리에 올라갔다가 사다리가 쓰러지며
같이 추락 <1명 사망, 1명 부상>
□ 안전 작업 방법
- 원칙적으로 사다리 작업 금지!
- 3.5m 이하 발판 설치가 어려운 협소한
장소에서만 사용!
- 평탄·견고하고 미끄럼이 없는 바닥에 설치
- 보조자가 사다리를 잡은 상태로 2인 1조
작업 및 최상부 발판에서 작업 금지
- 안전모 착용, 작업(발 디딤) 높이 2m 이상 시
안전대를 걸고 작업
※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 자료실에서 조회 가능
Q108. [사고사망예방 Quick Message] 감전 사고 연속 발생
A108 :
□ 작업 중 감전 사망사고 연속 발생
- ('22.07.06.) 공사 현장에서 전기맨홀 내부
누수 여부 점검 중 감전(약 380V) <1명 사망>
- ('22.07.05.) 기계설비 청소 중 누전상태인
냉각기에 통전됨 <1명 사망>
- ('22.07.05.) 용접 작업 중 감전(추정)
<1명 사망>
- ('22.07.05.) 핸드그라인더로 철강선
용접 이음부 연삭작업 중 감전 <1명 사망>
□ 안전 작업 방법
- 정전작업, 충전부 방호조치,
절연보호구/방호구, 접지 등 철저!
- 노출된 충전부(부근) 작업 시 전원 차단
(전원 차단 및 공급 시 절차 준수)
- 전기기계기구, 전로의 설치·해체·점검 등
작업 시 자격·기능 등 갖춘 자가 수행
※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 자료실에서 조회 가능
Q109. [사고사망예방 Quick Message] 적재·하역 중 깔림 사고 연속 발생
A109 :
□ 자재 적재/하역 중 깔림 사망사고 연속 발생
- ('22.07.18.) 트레일러에 싣던 H형강이 지게차의
포크에서 빠지며 차주가 깔림 <1명 사망>
- ('22.07.15.) 지게차로 하역 중이던 트레일러의
철골 자재가 낙하되며 차주가 깔림 <1명 사망>
- ('22.07.13.) 차량적재함에서 크레인으로
하역 중이던 코일에 차주가 깔림 <1명 사망>
- ('22.07.06.) 트레일러에서 H형강 하역 중이던
지게차에 작업자가 깔림 <1명 사망>
□ 안전 작업 방법
- 단위화물 무게 100kg 이상 싣거나 내리는 작업 시
① 작업 순서 및 순서별 작업방법 정하고 지휘,
② 기구·공구 점검 및 불량품 제거,
③ 관계근로자 외 출입금지,
④ 로프 풀기/덮개 벗기기는 떨어질 위험이
없는지 확인 후 실시
※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 자료실에서 조회 가능
☞ 자료실 바로가기
Q110. [사고사망예방 Quick Message] 리프트 작업 중 사망사고 연속 발생
A110 :
□ 리프트 작업 중 사망사고 연속 발생
- ('22.08.03.) 카센터에서 트럭 운전석 문을 열고
상체를 넣어 점검 중 트럭이 전진하면서 차 문이
리프트 지주에 걸리며 닫혀 끼임 <1명 사망>
- ('22.07.27.)리프트에서 화물(1.5t)을 3층으로
내리던 중 운반구가 2층으로 추락 <1명 사망>
- ('22.07.11.) 리프트에서 이동대차를 꺼내던 중
운반구 하강으로 프레임과 바닥 사이에 끼임
<1명 사망>
□ 안전 작업 방법
- 안전한 리프트 사용을 위한 필수 준비사항
① 승강로 주변 방호울 설치,
② 출입문 바닥 끝단과 건물 바닥 전단면
간격 3.5cm 이하
③ 낙하방지장치(유압식), 로프이완감지장치
(권동식), 충격완충장치, 비상정지장치 설치
※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 자료실에서 조회 가능
☞ 자료실 바로가기
Q111. [사고사망예방 Quick Message] 굴착면 붕괴로 매몰 사망사고 연속 발생
A111 :
□ 굴착사면이 무너지며 매몰되는 사망사고가 연속 발생
- ('22.08.23.) 굴착저면에서 배수관 설치작업 중
굴착사면이 무너지며 매몰 <1명 사망>
- ('22.08.18.)우수관로 터파기 후 굴착저면 이동 중
굴착사면이 무너지며 매몰 <1명 사망>
- ('22.07.12.) 굴착저면에서 우·오수관 설치를
위한 측량 중 굴착사면이 무너지며 매몰
<1명 사망>
□ 안전 작업 방법
- 지반 등의 굴착 시 위험 방지 조치 철저
① 지반의 종류에 따라 굴착면 기울기 준수,
② 흙막이 지보공 등 지반 붕괴 방지 조치,
③ 굴착 시 작업계획서 작성 및 교육,
④ 현장관리 감독 철저(위험 시 작업중지)
※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 자료실에서 조회 가능
☞ 자료실 바로가기
Q112. [사고사망예방 Quick Message] 지붕 이동 중 추락 사망사고 연속 발생
A112 :
□ 지붕 이동 중 추락 사망사고 연속발생
※ 8월에만 4건! 그 중 3건이 채광창 파손!
- ('22.08.27.) 공장 지붕보수를 위해 이동 중
채광창을 밟는 순간 파손되며 추락
<1명 사망>
- ('22.08.21.) 축사의 손상된 지붕판 철거 및
비닐 고정 작업 중 발을 헛디뎌 추락
<1명 사망>
- ('22.08.12.) 축사 지붕 철거 중 채광창을
밟는 순간 파손되며 추락 <1명 사망>
□ 안전 작업 방법
- 지붕공사 핵심 안전 수칙!
① 지붕 밑에서 작업 가능여부 확인,
② 작업통로용 발판 및 채광창 안전덮개 설치,
③ 지붕 가장자리에 안전난간 또는 추락방호망 설치,
④ 안전대와 안전모 착용
※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 자료실에서 조회 가능
☞ 자료실 바로가기
Q113. [사고사망예방 Quick Message] 인양 중 낙하한 중량물에 맞는 사망사고 연속 발생
A113 :
□ 인양 중 낙하한 중량물에 맞는 사망사고 연속 발생
※ 9월에만 4건!
- ('22. 9. 4.) 철근다발 줄걸이 작업 중 카고크레인 지브가
꺽이면서 가격 <1명 사망>
- ('22. 9. 3.) 유압잭으로 컨베이어(1.2t)를 들어올리던 중
컨베이어가 넘어지며 가격 <1명 사망>
- ('22. 9. 1.) 천장크레인의 자제제작 달기기구로 인양 중
빠지면서 가격 <1명 사망>
□ 안전 작업 방법
- 중량물 취급 작업의 낙하 재해예방 안전 수칙!
① 양중기, 달기구 등 정격하중 준수,
② 인양 하부 등 위험구역 출입금지,
③ 작업 전 달기구 점검 및 손상품 교체,
④ 인양물에 적합한 달기구 및 줄걸이 방법 적용
※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 자료실에서 조회 가능
☞ 자료실 바로가기
Q114. [사고사망예방 Quick Message] 안전가시설 설치 중 추락 사망사고 연속 발생
A114 :
□ 비계, 안전난간 등 가시설 설치 중 추락 사망사고 연속 발생
※ 9월에만 4건 발생!
- ('22. 9. 27.) 창고동 사일로 상부 20m 지점에서
안전난간 설치 중 추락 <1명 사망>
- ('22. 9. 19.) 옥상 단부에서 비계고정을 위한
벽이음 설치 중 지상으로 추락 <1명 사망>
- ('22. 9. 3.) 복공시설 주형보에 안전대 부착설비 설치 중
굴착면 바닥으로 추락 <1명 사망>
□ 안전 작업 방법
- 가시설 조립·해체·변경 시 핵심 안전수칙!
① 설치·해체 전 작업방법/순서/절차/보호구 등 작업계획 수립 및 교육,
② 안전대 부착설비 설치,
③ 작업 위치 고려 적합한 안전대 착용 후 이동/작업
※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 자료실에서 조회 가능
☞ 자료실 바로가기
Q115. [사고사망예방 Quick Message] 달비계 작업 중 추락 사망사고 연속 발생
A115 :
□ 달비계 작업 중 추락 사망사고 연속 발생
※ 최근 1개월 사이 4건 발생!
- ('22. 10. 10.) 아파트 외벽 물청소 중 달비계의
주로프가 끊어져 바닥으로 추락 <1명 사망>
- ('22. 9. 29.) 오피스텔 외벽코킹을 위해 지붕에서
달비계 탑승 중 균현 잃고 추락 <1명 사망>
- ('22. 9. 26.) 헬리포트에서 달비계 로프를
내리던 중 추락 <1명 사망>
□ 안전 작업 방법
- 달비계 작업 시 핵심 안전수칙!
① 로프 파손상태 및 접촉부 마모상태 확인,
② 로프 결속(2개소 이상) 및 고정부 확인,
③ 탑승 전 안전대를 수직구명줄에 체결,
④ 견고한 구조 및 충분한 강도의 작업대 사용
※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 자료실에서 조회 가능
☞ 자료실 바로가기
Q116. [사고사망예방 Quick Message] 어선에서 그물 작업 중 사망사고 등 연속 발생
A116 :
□ 어선에서 그물 작업 중 사망사고 등 연속 발생
- ('22. 11. 06.) 양망기로 그물 인양 중 낙하한 샤클에 맞고
바다에 빠짐 <1명 의식불명>
- ('22. 11. 06.) 투망 준비 중 장력에 의해 튕겨져 나온
와이어에 맞음 <1명 사망>
□ 안전 작업 방법
- 양망기 작업 시 핵심 안전수칙!
① 양망기 작업시 양망기와 안전거리 유지하고
이상 발생시 양망기를 멈추고 작업,
② 작업전 와이어로프 및샤클 등 달기구 상태
철저히 점검 및 작업시 안전모와 구명조끼 등
개인보호구착용,
③ 작업자가 즉시 전원을 차단할 수 있는 위치에
비상정지장치 또는 동력차단장치를 설치,
④ 비상 시 즉시 작동을 멈출 수 있도록
2인1조로 작업 실시
※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 자료실에서 조회 가능
☞ 자료실 바로가기
Q117. 모바일 앱 서비스 일시중단 안내
A117 :
모바일 앱 서비스 업데이트를 위한 시스템 작업으로 인하여
아래 기간 동안 앱 이용이 불가하오니 참고하여 주시길 바랍니다.
<일시 중단 기간>
2022. 12. 24.(토) 09:00 ~ 12. 24.(토) 17:00
<일시 중단 대상>
앱 전체 메뉴
Q118. 위기탈출 안전보건 앱 상세 매뉴얼을 확인해보세요!
A118 :
위기탈출 안전보건 앱 사용자 편의를 위해 상세 매뉴얼을 제작하였습니다.
<목차>
- 앱 개요
- 앱 설치방법
- 홈 화면 및 서브메뉴 한 눈에 보기
- 메뉴별 이용권한
- 신규 회원가입(아아디, SNS)
- 기존회원*(본인인증 및 계정통합)
* 2022. 12. 24. 이전 가입회원
- 회원탈퇴
- 로그인(아아디/SNS 간편로그인)
- 로그인(아이디/비밀번호 찾기)
- 개인정보 수정(비밀번호 변경 등)
- 메뉴별 상세 안내
- 고객문의(1:1 문의, 유선)
- 앱 10분 안전보건교육 흐름도
- 강사(교육자료 관리)
- 강사(강의실 생성)
- 강사(교육자료 선택하기)
- 강사(교육생 초대하기(URL, QR코드))
- 강사(교육 시작 및 종료)
- 교육생(강의실 입장하기(URL, QR코드))
- 강사/교육생(나의 교육내역 확인)
- 사업장교육담당자(앱 교육내역 확인-이수확인 홈페이지)
Q119. 2022년 12월 앱 업데이트 공지사항
A119 :
□ 앱 주요 업데이트 내용
- 본인인증 시스템 도입(통신사, 카카오톡)
- 고객문의 시스템 개선(1:1 문의 게시판)
- 기존회원 계정통합(중복계정 통합)
- 교육생 회원탈퇴 기능 추가
- 비밀번호 찾기 기능 개선
(본인인증 후 재설정 가능)
- 안전보건자료 메뉴 콘텐츠 순서 변경
(시청각 콘텐츠 우선 표출)
- 홈 화면에 10분 안전보건교육 전용 메뉴 추가
- 위기탈출 안전보건 앱 상세 매뉴얼 배포
Q120. 10분 안전보건교육을 근로자 정기교육에 활용해보세요!
A120 :
위기탈출 안전보건 앱의 10분 안전보건교육은 위험예지훈련 등 작업 전후 실시하는 단시간 안전보건교육을 지원하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2017년 안전보건교육규정 개정*에 따라 공단 앱을 활용한 10분 안전보건교육 시 근로자 정기교육으로 인정이 됩니다.
TBM 시 현장의 작업자에게 그날 해야 할 작업의 위험요인, 안전대책 등을 전달할 때 보다 이해하기 쉽도록 앱 내 자료를 활용하여 교육할 경우 그 시간을 근로자 정기 안전보건교육으로 인정하고 있습니다.
* 고용노동부고시 제2017-5호(2017.1.19.) 안전보건교육규정 개정
제2조(정의) ① 3. "현장교육"이란 산업체의 생산시설 또는 근무장소에서 실시하는 교육을 말한다(위험예지훈련 등 작업 전후 실시하는 단시간 안전보건교육을 포함한다)
단, 현장교육을 실시할 때에는 강사 자격이 있는 사람이 주관하여 실시해야 하며, 교육 실시 후에는 보고서 또는 일지를 작성해야 합니다.
위기탈출 안전보건 앱을 이용하여 교육할 경우 교육실시 내역이 이수확인 홈페이지로 자동 전송(리포트 형식의 교육증빙 출력 가능)되기 때문에 손쉽게 교육내역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 근로자등 안전보건교육 강사기준[고용노동부 고시 제2023-10호 안전보건교육규정 별표1] 바로가기
☞ 이수확인 홈페이지 바로가기(사업장 교육담당자 관리용)
이수확인 홈페이지는 PC에서 이용 가능하며 자세한 이용 방법은 아래 매뉴얼을 참고하여 주시길 바랍니다.
Q121. ['24.1.22.(월) 오후 6시 ~ '24.1.23.(화) 오전 5시] 앱 업데이트에 따른 서비스 일시중단 안내
A121 :
신규 서비스 제공을 위한 데이터 작업에 따른 위기탈출 안전보건 앱 업데이트가 진행됩니다.
해당 시간에는 위기탈출 안전보건 앱 이용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으니 양해바랍니다.
<서비스 중단 기간>
'24.1.22.(월) 오후 6시 ~ '24.1.23.(화) 오전 5시
Q122. 산업안전 대진단 시작하세요~!
Q123. [반도체 현장실습생 안전보건교육] 한 눈으로 보는 화학물질 관리 요령 10계명
A123 :
반도체 사업장 현장실습생에 대한 안전보건교육 강화를 위해 한 눈으로 보는 화학물질 관리 요령을 제작하였습니다. 10계명의 각 항목을 선택할 때마다 상세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Q124. ['23.3.28.(화) 23:00~ 3.29.(수) 08:00] 앱 및 이수확인홈페이지 서비스 일시중단 안내
A124 :
보다 나은 서비스 제공을 위해 시스템 업그레이드를 진행합니다.
해당 시간에는 서비스 이용이 불가하오니 양해바랍니다.
<시스템 업그레이드 기간>
2023. 3. 28.(화) 밤 23:00 ~ 2023. 3. 29.(수) 오전 08:00
<서비스 중단 대상>
- 위기탈출 안전보건
- 이수확인 홈페이지
Q125. ['23.10.27.(금) 18:30 ~ 10.29.(일) 18:00]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 조회 서비스 일시중단 안내
A125 :
보다 나은 서비스 제공을 위해 네트워크/보안 장비 교체를 진행합니다.
해당 기간에는 아래 메뉴의 이용이 불가하오니 양해바랍니다.
(앱 내 다른 메뉴는 정상 이용 가능)
<서비스 중단 기간>
2023. 10. 27.(금) 18:30 ~ 10. 29.(일) 18:00
<서비스 중단 대상>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 메뉴(이수자 조회, 개인정보정정신청 등)
※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 관련 문의처: 052-703-0709 / 1644-2275
Q126. ['23.7.27.(목) 23:00 ~ 7.28.(금) 01:00] 앱 VR콘텐츠, VR전용관, 미디어현장배송 서비스 일시중단 안내
A126 :
보다 나은 서비스 제공을 위해 장비 교체를 진행합니다.
해당 기간에는 아래 메뉴의 이용이 불가하오니 양해바랍니다.
(앱 내 다른 메뉴는 정상 이용 가능)
<서비스 중단 기간>
2023. 7. 27.(목) 23:00 ~ 7. 27.(금) 01:00
<서비스 중단 대상>
- 앱 안전보건자료 메뉴 중 VR 콘텐츠 전체
- VR전용관
- 미디어현장배송서비스
Q127. 주기적 비밀번호 변경 요청 안내
A127 :
안녕하십니까?
안전보건공단 콘텐츠개발부입니다.
최근 신원불상의 자(국외IP)가 사전 수집한 것으로 추정되는 계정정보(ID/PW)를 이용하여 한국고용정보원의 워크넷 홈페이지에서 로그인 시도를 한 정황이 있었습니다.
해당 공격은 여러 방법으로 획득한 계정정보(ID/PW)를 무작위로 조합하여 웹이나 앱에서 무차별 로그인을 시도하는 방법으로, 여러 사이트에서 동일한 아이디와 암호를 사용하는 이용자가 주요 타깃이라고 합니다.
공단 위기탈출 안전보건앱 및 이수확인 홈페이지는
회원 여러분의 소중한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상시 보안 체계를 작동하고 있으나, 여러 사이트에서 같은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사용하는 경우 관련 피해를 볼 가능성이 있으니 피해 예방을 위해 주기적인 암호 변경과 사이트별 다른 암호를 사용할 것을 당부드립니다.
감사합니다.
Q128. [설문조사] 「산재예방 통합포털」브랜드 네이밍 공모전
A128 :
※ 설문페이지 바로가기(3. 20.(월)부터 이용 가능)
「산재예방 통합포털」브랜드 네이밍 및 의견수렴
안전보건공단에서는 여러 홈페이지를 방문할 필요 없이 한 번의 접속으로 산업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안전보건 정보와 수요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재해예방 통합포털 구축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에 포털의 목적 및 특색을 잘 나타낼 수 있는 명칭을 공모하오니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랍니다.
1. 공모기간: 2023. 3. 20.(월) ~ 2023. 3. 31.(금)
2. 공모자격: 대한민국 거주자 누구나
3. 공모분야: 산재예방 All-In-One 서비스와 수요자 중심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포털을 지칭하는 브랜드명(10자 이내)
※ 포털 구축 대상: 안전보건공단 대표 홈페이지 등 55개 사이트(홈페이지)
4. 응모방법
- 설문지 입력(URL 링크 접속): 온국민소통(행안부 소통채널) 공모전, 안전보건공단 홈페이지, 위기탈출 안전보건 앱
5. 심사기준 및 결과발표
- 심사기준: 대표성, 창의성, 적합성, 효과성, 간결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수상작 결정
- 결과발표: 2023년 4월 10일(예정) 이후 수상작 공단 대표 홈페이지(알림소식/공지사항) 공개 및 수상자 개별통보
[심사기준]
기준 |
내용 |
배점 |
총점 |
|
100 |
대표성 |
포털의 방향, 기능, 역할을 포괄적으로 표현하는가? |
20 |
창의성 |
새로운 방식, 시선으로 제안했는가? |
20 |
적합성 |
공공기관에서 활용하기에 무리가 없는가? |
20 |
효과성 |
산재예방에 관한 내용이 담겨있는가? |
20 |
간결성 |
짧고 간단하게 구성되어 있는가? |
20 |
6. 포상내역
구 분 |
인 원 |
포 상 금 |
비고 |
계 |
3명 |
온누리 상품권 180만원 |
심사결과 완성도가 떨어지거나 응모건수가 시상건수에 미치지 못할 경우 시상인원을 조정할 수 있으며, 적합한 작품이 없을 경우 수상작을 선정하지 않을 수 있음 |
최우수 |
1명 |
온누리 상품권 100만원 |
|
우수 |
1명 |
온누리 상품권 50만원 |
|
장려 |
1명 |
온누리 상품권 30만원 |
- 시상식은 별도로 없으며, 추후 개별로 포상금 송부예정
- 참여자에게는 기프티콘(5,000원) 지급 예정(추첨 50명)
7. 유의사항
- 수상작에 대한 일체의 권리는 안전보건공단이 양도 받고 대가는 포상금으로 대체하며, 수상작으로 선정되지 않은 응모작은 반환하지 않고 공모 종료일로부터 3개월 이내에 모두 폐기함
- 응모작은 순수한 창작품이어야 하며, 표절이나 타 공모전 수상작품으로 판명될 경우 심사에서 제외되며, 수상 후 표절로 확인될 경우 수상을 무효로 하고, 그에 따른 초상권/저작권 분쟁에 따른 모든 책임은 응모자에게 있음
- 응모 시 반드시 상기 공모방법에 따라 신청하여야 하며, 주요사항(인적사항, 필수 기재사항 등) 누락 시 심사에서 제외함
- 접수마감 당일까지 제출된 신청서에 한해 접수
- 1인 1명칭 이내 제안 가능하며, 심사결과 동일한 내용은 먼저 응모한 작품을 선정
- 주제에 벗어나거나 작품규격에 맞지 않는 작품은 심사에서 제외
- 위에 언급되지 않은 내용은 안전보건공단의 결정에 따르며, 심사 결과에 대하여 이의를 제기하지 않음
8. 관련문의: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디지털전략실 디지털계획부 담당자 이운 차장(☎ 052-703-0449)
Q129. ['23.12.29.(금) 18:00 ~ '24.1.1.(월) 23:59] 건설업기초안전보건교육 서비스 일시중단 안내
A129 :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한 데이터 작업에 따른
건설업기초안전보건교육 서비스 점검이 진행될 예정입니다.
해당 기간에는 아래 메뉴의 이용이 불가하오니 양해바랍니다.
(앱 내 다른 메뉴는 정상 이용 가능)
<서비스 중단 기간>
'23.12.29.(금) 18:00 ~ '24.1.1.(월) 23:59
<서비스 중단 대상>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 메뉴
(이수자 조회, 개인정보정정신청 등)
※ 건설업기초안전보건교육 관련 문의처:
052-703-0709 / 1644-2275
Q130. 미디어 현장배송 서비스
Q131. 안전보건 자료실
Q132. 앱 관련 전화문의 안내
A132 :
O 건설업 기초 안전보건교육(이수증 조회 및 발급, 개인정보정정신청 등 관련 문의)
052-703-0709
O 앱 교육 등 이용방법 문의
052-703-0735
O 안전교육대상조회(안전보건교육기관) 관련 문의
052-703-0718
O 기타 문의
052-703-0648
052-703-0468
인터넷교육센터 고객센터
1644-5656
Q133. 체감온도 계산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