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탈출 안전보건앱

안전보건공단 로고

What is your language?

언어선택 닫기

중량물 운반의 위험요인 찾기 결과

실제 중량물의 무게는 kg입니다.
한계 무게는 kg입니다

근골격계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Tip

무게

  • 공급자에게 소량을 명시하도록 합니다.
  • 소량으로 포장을 합니다
  • 가벼운 무게의 용기를 사용합니다.
  • 진공리프트와 같은 기계보조장치를 사용합니다.
  • 물건을 밀고 당기고 기울이거나 돌려서 들어올리는 방법으로 전환합니다.
  • 기계 리프트를 사용하 수 있는 무게로 증가시킵니다.
  • 물건을 들어올리기 위해서 두 명 이상의 근로자들이 함께 들어올립니다.

위치

수직 위치에 대한 권고사항

❍수직 높이를 증가시키는 방법

  • -조절가능한 작업대를 사용합니다(유압형, 전기형, 가위형 화물운반 리프트).
  • -리프트 테이블을 사용합니다.
  • -작업대 위치를 높이도록 합니다.
  • -물건을 높은 플랫폼, 작업대, 작업테이블에 보관합니다.
  • -추후에 들어올릴 수 있는 물건은 내려놓지 않도록 합니다.
  • -조절가능한 플랫폼이 있는 카트(수레)를 사용합니다.
  • -하부로부터 들어올리는 대신 들어올리는 물건에 손잡이를 적용하여 사용합니다.

❍수직 높이를 감소시키는 방법

  • -작업대를 낮추도록 합니다.
  • -낮은 높이에 물건을 보관합니다.
  • -근로자들이 서있는 곳에 조절가능한 플랫폼을 마련합니다.
  • -적절히 설계되고 안정한 발판의자를 사용합니다.
  • -조절가능한 작업대를 사용합니다.(전기형, 유압형 등)

수직 이동 거리 권고사항

❍물건(짐)의 이동거리를 줄이는 방법

  • -리프트의 출발지점과 물건 운반장소가 같은 높이가 유지되도록 작업장을 재설계합니다.
  • -조절가능한 작업대를 사용합니다.
  • -조절가능한 플랫폼대가 있는 카트를 사용합니다.
  • -같은 높이에 물건을 보관합니다.
  • -근로자들이 서있는 곳에 조절가능한 플랫폼을 적용하여 사용합니다.
  • -근로자들이 서있는 곳에 적절히 설계된 발판의자를 사용합니다. (주의:근로자들이 발을 헛디디거나 미끄러질 위험이 있음)

수평적 위치 감소 권고사항

❍ 물건(짐)과 신체와의 거리 또는 도달 거리를 줄이는 방법

  • -공급자로부터 더 작은 포장물 크기를 명시하여 운반 시 신체와 가깝게 할 수 있습니다.
  • -물건을 더 작은 사이즈로 포장을 합니다.
  • -손을 뻗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물건을 턴테이블(회전반)에 보관하도록 합니다.
  • -짐의 도달거리를 줄이기 위해 작업장을 재배치합니다.
  • -손을 뻗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물건의 모든 방향에서 접근이 가능하도록 합니다.
  • -물건을 들어올리기 전에 당신의 신체쪽으로 물건을 당기도록 합니다. (갈고리, 돌림판 사용)
  • ※ 주의 : 어깨 손상을 피하기 위해 마찰을 최소화하도록 합니다.
  • -가능한 물건이 신체에 가까이 유지하도록 근로자들을 교육하고 훈련합니다.
  • -물건을 들어올리기 전에 물건을 근로자 쪽으로 기울입니다.
  • -물건을 들어올려 내려놓기 전에 작업대, 테이블, 플랫폼대에 물건의 일부분을 지지해서 작업하도록 합니다.
  • -더러운 물건을 들어올릴 때에는 앞치마나 보호용 작업복을 입도록 합니다.
  • -물건이 너무 뜨겁거나 차지 않은지 모서리나 접촉면이 날카롭지 않은지를 확인하도록 합니다.

비틀림

❍ 비틀림을 줄이는 방법

  • -물건을 들어올릴 때 모든 방향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작업장 배치를 변경하도록 합니다. 물건을 들어올리는 작업은 전면에서 행해져야 합니다.
  • -물건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해서 컨베이어, 롤러, 회전판, 활송장치 등을 사용합니다.
  • -들어올리는 물건 가까이에 있는 장애물을 제거합니다.
  • -근로자들에게 물건을 들어올리는 작업 시, 몸을 비틀기보다는 두발을 움직여서 하도록 교육하고 훈련합니다.
  • -근로자들이 두발을 움직여서 작업할 수 있도록 충분한 작업 공간을 제공하도록 합니다.
  • -근로자들이 몸을 비틀지 않고 발을 움직여서 일을 할 수 있도록 목표생산량이나 생산라인으로 인한 시간적인 압박을 받지 않도록 합니다.
  • -근로자들이 몸을 비틀지 않고 발을 움직여서 작업을 하게 하려면 리프트를 사용하는 최초 지점과 목표지점 사이의 수평적 거리를 증가시킵니다.

빈도

❍ 빈도를 줄이는 방법

  • -손으로 물건을 들어올리고 내리는 것을 없애도록 합니다.
  • -손으로 들어올리는 같은 양의 물건에 대해서 들어올리는 시간을 증가시키도록 합니다. (예 : 1시간에서 2시간)
  • -자동 혹은 기계 운반 장치를 사용합니다. (호이스트, 크레인, 리프트 트럭, 포크 리프트, 잭 둥)
  • -물건을 들어올리거나 내릴 때 밀거나 미끄러져 움직이는 방식으로 대체합니다. (롤러, 바퀴 이동, 에어 테이블 등)
  • -물건(짐)이 매우 가볍거나 매우 소형이라면 매번 두 개 혹은 그 이상의 물건을 들어 올리거나 내리도록 합니다.
  • -작업에 더 많은 근로자를 배정합니다.

❍ 허용 빈도를 증가시키는 방법

  • -작업 순환을 하도록 합니다.
  • -빈번하고 긴 휴식 시간 이후에 물건을 들어올리는 기간을 줄이도록 합니다.
  • -무거운 물건(5kg 이상)은 적재높이를 작업자가 허리를 굽히거나 팔을 들어 올리지 않도록 75cm 정도로 적재하고 운반할 수 있도록 합니다. 적재높이는 작업자의 손과 어깨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적정합니다.

잡는방식

❍ 잡는 방식을 향상시키는 방법

  • -물건의 길이는 40cm 이하, 높이는 30cm 이하가 되도록 한다.
  • -내용물을 안전하게 하기 위해 포장을 하며, 그러면 들어 올리는 동안 무게중심이 변하지 않을 것입니다.
  • -물체의 대칭적인 무게중심을 잡도록 합니다.
  • -물체의 모양이나 표면의 질감이 물건을 쥐거나 잡기 쉬워야 합니다.
  • -날카로운 모서리 부분을 잡지 않도록 합니다.
  • -물건이 너무 뜨겁거나 너무 차갑지 않도록 합니다.
  • -잘 부착되고 설계된 손잡이를 적용하여 사용하도록 합니다.
  • -내용물이 한쪽으로 처지지 않도록 가방(봉투)보다는 박스에 포장하도록 합니다.
  • -장갑을 착용하는 것이 실제로 물건과 손의 마찰을 개선합니다.
  • -잘 설계된 작업흐름으로 물건의 운반거리를 최소화시킵니다.
  • -물건을 잡는 방식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클램프나 다른 장치를 이용하도록 합니다.